위키 홈
- 2024-09-08 (modified: 2025-08-31)
환영합니다 :)
일지
2025-08-31
블록체인에 대해 2022년 경 품고 있었던 생각을 정리했다: 블록체인에 대한 생각
2025-08-25
새벽에 이석증 또는 전정신경염으로 보이는 증상을 겪어서 오전에 병원에 다녀왔다. 좌측 후반고리관 이석증이라고 한다. 시야 전체가 시계방향으로 90도 정도 돌아갔다가 순식간에 제자리로 돌아오는 패턴이 초당 3~5회 정도 반복되는 증상을 겪었고, 구토감을 심하게 느꼈다. (구토감은 신경계가 교란될 때 나타나는 적응 메커니즘일 뿐이며 그 자체로는 별 문제가 아님)
2주 정도 잘 치료하면 된다고 한다.
2025-08-23
자연어로 작성된 명세서에 쓴 문제점들을 개선할 방안을 고민하며 LLM과 나눈 대화를 임시로 저장했다:
이 문서의 내용을 s4에 반영할 방법을 고민해보면 좋겠다.
2025-08-22
재귀적 신경기호 제어역전이라는 개념을 정리했다. 반구조적 소프트웨어 명세서(s4)와 과정에 담긴 가치의 증강에 담긴 공통적인 설계 원리에 대해 숙고한 결과.
글을 쓰다보니 다이어그램을 그리고 싶어서 위키에 Mermaid 렌더링 기능도 추가했다.
2025-08-21
과정에 담긴 가치의 증강에 대한 글을 썼다. 나에게 유익한 방향으로 자동화를 하는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
위키 가드닝 규칙을 좀 더 개선하여 옵시디언에서 폴더를 완전히 제거했다. 원래는 네 개의 폴더(people
, media
, publications
, dates
)를 쓰고 있었는데 모두 없애고 대신 type
속성을 추가해서 필요한 경우에 문서의 유형을 지정할 수 있도록 했다. 예를 들어 사람에 대한 문서는 type: Person
, 논문이면 type:ScholarlyArticle
등. type
의 값에는 schema.org의 타입 중 아무거나 쓸 수 있도록 했다.
2025-08-19
올해 4월부터 약 5개월 간 진행한 에이전트 기반 코딩 실험에 대해 회고를 해봤다.
AI 시대의 소스코드 품질에 대한 생각을 정리했다.
2025-08-17
ESLint 설정 파일에 대해 공부하고 정리했다: ESLint 설정하기
2025-08-13
위키에 Atom 피드를 추가했다. 공개된 문서 중 allowIndex
가 true
인 글이 피드에 포함되도록 했다.
작업 지시에 사용한 프롬프트:
Implement
atom.xml
feed here. See@+server.ts
as reference. You may use simple XML library if needed. The feed should only include pages whereallowIndex
istrue
.
간단한 작업이니 한번에 됐으면 좋았을텐데, 아쉽게도 1회 추가 지시가 필요했다.
Is it okay to list all the entries? Is it better to list recent entries only?
내가 지시하는 작업이 옳은지 확실치 않을 때, 옳으면 시키는대로 하고 잘못된 지시라면 대안을 제시하게 하고 싶으면 이런 식으로 의문문을 쓰면 대체로 잘 된다.
30분 정도 시간을 내서 PARA method에 대해 공부했다.
2025-08-10
AI 에이전트를 위한 테스크 큐를 만들었다. 원격에서 비동기로 일을 시켜놓을 수 있는 시스템. 에이전트 기반 코딩 실험 3의 명세서 기반 프로세스로 작은 프로젝트를 하나 수행하도록 지시했더니 6시간 정도 사람 개입 없이 작업해서 일을 마쳤다. 만들어진 결과물에 마음에 안드는 점이 많지만 그래도 고무적이다.
2025-08-08
GPT 5가 나왔다. API 가격이 싸서 좋고, 사용자가 직접 제공한 정규표현식 또는 문맥-자유 문법에 기반한 구조화된 출력을 지원하는 점이 아주 마음에 든다. 경쟁사들이 곧이어 더 좋은 모델들을 경쟁적으로 공개해주면 좋겠다.
Cursor도 바로 GPT 5를 지원하기 시작해서 써보는 중인데, 자고 일어났더니 동료(AI)가 좀 더 똘똘해진 것 같아서 신기한 느낌이 든다. 4시간 정도 써봤는데 전반적으로 더 코딩을 잘하는데 커서에 적은 인스트럭션(rules)을 잘 따르지 않는다. 가끔 끝없이 이런저런 툴을 호출하면서 긴 생각에 잠기기도 하고. 커서 팀에서 최적화를 더 해야할 것 같다.
한편 Cursor는 오늘 조용히(?) Claude Code 스타일의 CLI 기반 개발툴을 공개하며 CLI 유행(?)에 올라탔다.
2025-08-04
상태없는 AI-인간 인터랙션이라는 글을 썼다. 에이전트 기반 코딩 실험 3 계속 진행 중.
2025-08-03
에이전트 기반 코딩 실험 3에 대해 기록했다.
2025-08-02
“Prompting Science Report” 3부작을 훑어 읽었다. Ethan Mollick과 Dan Shapiro가 공저자로 참여:
- Prompting Science Report 1: Prompt Engineering is Complicated and Contingent
- Prompting Science Report 2: The Decreasing Value of Chain of Thought in Prompting
- Prompting Science Report 3: I’ll pay you or I’ll kill you -but will you care?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발표한 Magentic-UI: Towards Human-in-the-loop Agentic Systems를 읽었다. 공저자 중 Ece Kamar는 전에 읽었던 다음 두 논문에도 참여했던 인물이다. MSR에서 꾸준히 관련 업무를 하고 있는 모양이다.
- Sparks of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 Early experiments with GPT-4 (유명한 2023년 Sparks of AGI 보고서)
- Designing an online infrastructure for collecting AI data from people with disabilities
2025-08-01
벼르고 벼르던 Effect (타입스크립트 라이브러리)를 드디어 사이드 프로젝트에 적용해봤다.
지난 일지
- 2025년, 2024년,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 2009년, 2008년, 2007년, 2006년, 2005년, 2004년, 2003년, 2002년, 2001년, 2000년
위키 지도
위키 탐험을 위한 지도 (작업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