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

공리주의(utilitarianism)는 최선의 결과를 가져오는 행동을 옳은 행동으로 여기는 철학적 입장으로, 결과주의의 일종이다. 최선의 결과란 그 행동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모든 존재들이 겪는 행복을 최대한 키우고 고통을 최대한 줄이는 결과를 말한다. 영국의 철학자 제레미 벤담이 1789년에 출판한 도덕과 입법 원리 서설에서 체계화되었다.

종류

무엇을 극대화할 것인가:

행위 vs. 규칙:

  • 행위 공리주의
  • 규칙 공리주의

공리?

공리주의는 영어로 “utilitarianism”인데, 여기에서 “utility”는 “효용”을 뜻한다.

우리말 “공리功利”는 “이로움을 가장 중히 여김”는 의미로 해석하면 좋을 것 같은데, “공공의 이익”을 뜻하는 “공리公利”를 잘못 표기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공리의 “리”는 이로움을 뜻하는데 “이로움”은 아마도 이익 또는 관심을 뜻하는 “interest”의 번역인 것 같다. 영어에서는 이익도 interest이고 관심도 interest라서 규범 윤리에서 interest는 보통 두가지 모두를 뜻하는 중의적 단어로 쓰인다.

공리주의에 대한 왜곡

공리주의자들은 기존의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최선의 결과가 무엇인지에 집중한 덕에 노예제도, 성차별, 동성애 범죄화 등 대다수의 동시대인들이 비판 없이 수용하던 악습들을 시대에 앞서 비판하고 상당한 변화를 이끌어 왔다.

하지만 어쩌면 그 탓에, 공리주의를 우스꽝스럽게 왜곡하거나 악마화하려는 경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대다수의 현대인은 종차별이 부당하다는 주장을 수용하지 않으며 공리주의적 근거를 외면하거나 왜곡한다.

예를 들면 환자 다섯 명을 살리기 위해 멀쩡한 사람을 죽이는게 공리주의라는 식의 왜곡이 대표적이다. 이런 행동이 용인되는 사회는 누구나 갑작스럽게 살해를 당할 수 있기 때문에 모두에게 극도로 불행한 사회일 것이며 이는 “행복을 극대화하고 고통을 최소화한다”는 방향과 맞지 않는다.

관련 자료

  • 공리주의 짧은 소개는 카타르지나 드 라자리-라덱과 피터 싱어가 함께 쓴 입문서다.
  • 동물 해방은 피터 싱어가 공리주의에 입각해서 동물에 대한 종차별적 억압의 실상을 알린 고전이다.

관련 개념

  • 공리주의는 의무보다는 결과를 중시하기 때문에 결과주의의 일종이다.
  • 행동의 결과보다는 주어진 의무의 이행을 중시하는 입장은 의무론이라고 부른다.

2024 © 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