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 함수
- 2016-05-01 (modified: 2025-11-15)
연속적 성장continuous growth을 뜻하는 함수.
쉬운 설명
를 형태로 길게 풀어서 쓰면 좀 더 이해하기가 편하다.
- 는 원래의 크기base. 예를 들어 원래 100원을 가지고 있었으면 .
- 은 성장률rate. 이 클수록 빠르게 성장한다는 뜻이므로 결과값은 더 커진다.
- 는 시간time. 가 클수록 오래 성장했다는 뜻이므로 결과값은 더 커진다.
실제 은행 예금과 달리 이자가 연속적으로 자라나는 가상의 은행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 원금이 100원()이고 연이율이 10%()이며 3년 동안 예금을 해뒀으면() 예금액은 이다. 연이율이 30%()이며 1년 동안 예금을 해뒀어도() 예금액은 이다. 실제 은행 예금과 달리, 연속적 성장에서는 성장률과 시간이 등가이므로 연이율 10%인 3년 예금 이자와, 연이율 30%인 1년 예금 이자가 같다.
- 인 이유, 즉 인 이유는, 100원을 넣어두었는데 이율이 0%이거나(), 시간이 흐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 인 이유는? 연이율이 -10%인 채로 3년을 보낸 상황()을 의미할 수도 있고, 연이율이 계속 10%였고 현재의 예금액이 100원이라면 3년 전에는 얼마였는지()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의 값이 아무리 작아져도 는 에 한없이 다가갈 뿐, 결코 음수가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