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iversal design > Universal design. Universal [design](https://wiki.g15e.com/pages/Design.txt). ## 비판 ### 서양 지역 전통에 불과한 걸 인간 보편으로 부르기 <인도네시아> 악기 보낭으로 연주한 곡을 한국인과 미국인에게 들려주고 [평가하게 했더니](https://www.cam.ac.uk/research/news/pythagoras-was-wrong-there-are-no-universal-musical-harmonies-study-finds) 서양 악기(피아노 등)로 낼 수 없는 종류의 화음에 대한 선호가 발견됐다고. 서양에서 말하는 "인류 보편"이란 사실 "지역전 통"에 불과함을 보여주는 많은 사례 중 하나. (논문: [Timbral effects on consonance disentangle psychoacoustic mechanisms and suggest perceptual origins for musical scales](https://wiki.g15e.com/pages/Timbral%20effects%20on%20consonance%20disentangle%20psychoacoustic%20mechanisms%20and%20suggest%20perceptual%20origins%20for%20musical%20scales.txt)) 이런 오류를 범하지 않기 위해 주의하기. ### 인간 보편에 불과한 걸 그냥 "보편"이라고 부르는 문제 <사용성>이란 오랜 세월 "비장애인의 사용성"을 뜻하는 용어였다. "장애인 사용성"은 [접근성](https://wiki.g15e.com/pages/Accessibility.txt)이라는 말로 따로 분리해서 부른다. 요즘엔 [접근성](https://wiki.g15e.com/pages/Accessibility.txt)이 <사용성>에 포함된다고 보는 견해가 늘고 있는 것 같다. 다행이다. [보편 디자인](https://wiki.g15e.com/pages/Universal%20design.txt)이라는 용어도 비슷한데, 여기에서 말하는 "보편"이란 사실 "인간 보편"에 불과하며 <비인간 동물>을 고려하지 않는다. (참고: [동물 중심 디자인](https://wiki.g15e.com/pages/Animal-centered%20design.t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