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수화물 다이어트 비판. ## 도입부 - <1980년> 이후 <미국>의 비만률은 꾸준히 증가, <2014년> 현재 1/3이 비만. <비만>은 <심장 질환>, <뇌졸중>, [2형 당뇨](/pages/Type%202%20diabetes.txt), 일부 <암> 등 조기사망과 연관이 있음. - 표준미국식(SAD; The ; 우리가 보통 '서구화된 식습관'이라고 부르는 것)은 사람들의 건강을 위협. 여러 대안 중 <1972년> <앳킨스 박사의 다이어트 혁명>, <1988년> <앳킨스 박사의 새 다이어트 혁명> 등 출판을 계기로 <앳킨스 다이어트>를 비롯한 저탄식의 이런저런 변형들(예: <구석기 다이어트>)이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둠 - 저탄식은 실제로 <베이컨>, <스테이크>, <버터> 등을 먹으면서도 체중 감량 효과를 일으킴. 문제는 건강을 크게 해친다는 점. 표준미국식만큼이나(또는 그보다 더) 건강에 안좋음. - 저자(C. Campbell)는 지난 40년 간 버지니아 공대와 코넬대에서 실험영양학 연구를 했고 연구실과 현장에서 꾸준히 연구하고 다른 연구자들의 최신 연구를 지속적으로 접하고 있음. ## 사람들이 저탄식을 선호하는 이유 The Low-Carb Appeal - 이론적으로나 임상적으로나 저탄식은 여러 심각한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중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음. 왜 그럴까. - 지난 수십년 간 온갖 다이어트 방법이 유행했으나 결론적으로 별 효과가 없었고, 대중들은 대안을 찾기 시작함. [1980년대](/pages/1980s.txt)에 상업적으로 크게 성공한 대안은 저탄식의 일종인 앳킨스 다이어트. - 앳킨스의 가장 큰 마케팅적 업적은 "저탄low-carb"이라는 말을 고안하여 건강한 식물성 식재료를 피하도록 대중 설득에 성공한 점. 이제 사람들은 아무 걱정 없이 스테이크, 베이컨, 버터, <돼지기름> 등을 마음껏 먹을 수 있게 됨. 게다가 저탄식을 시작하면 단기적으로 감량 효과가 나타나기도 함. - 엣킨스 다이어트 유행은 육류, <유제품>, <계란> 산업에 큰 이득을 가져다 주었으며, 이들은 이제 "저탄식 과학"에 기반하여 제품을 홍보할 수 있게 되었음. ## 저탄식 지형도 The Low-Carb Landscape 여러 종류의 저탄식이 존재하지만 내용의 차이는 적고 마케팅의 차이가 큰 편. 이들의 공통점은 탄수화물에 대한 공포와 혐오를 조장하고, 열량의 대부분을 단백질과 지방에서 얻도록 장려한다는 점. 앳킨스 다이어트 - 최초로 기록된 사례는 [1860년대](/pages/1860s.txt) 영국의 장의사 William Banting. 첫 몇 주 사이에 체중 감량을 겪었으나 장기적 결과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려진 바가 없음 - <1972년> , <1988년> 을 계기로 대중적으로 유행하기 시작. 앳킨스 뉴트리셔널즈 회사를 설립하여 앳킨스 인증 식품을 판매하며 상업적으로 크게 성공. 앳킨스 재단은 저탄식과 비만, 알츠하이머, 고환암 등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지원. 저탄식 스핀 오프들 - <앳킨스 다이어트>가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자 수많은 의사와 저자들이 책을 쓰고 제품을 만들기 시작. - 의 "Protein Power" (1995), 의 "Enter the Zone" (1995), 의 "Eat Right 4 Your Type" (1997), 의 "The Paleo Diet" (2002), 의 "South Beach Diet" (<2005>), 의 "The New Atkins for a New You" (2010) 등이 유명 - 이들은 자신이 변형한 저탄식이 다른 이들의 저탄식보다 더 "정확한" 방법이라고 주장. 버터보다 올리브 오일이 좋고 살코기를 먹어야 한다(South Beach Diet), 물과 영양보충제로 저탄식의 문제를 보완해야 한다(Protein Power), 단백질은 30%, 탄수화물은 절반 이하 정도이면 된다(Enter the Zone; 하지만 저자가 보기엔 탄수화물이 절반 이하여도 여전히 저탄식), 저탄고지를 해야하지만 홀푸드가 중요하다(The Paleo Diet; 하지만 저자가 보기엔 홀푸드가 중요한 건 맞지만 저탄고지는 여전히 해로움) 등. - 이 온갖 변형들로 인해 "저탄식" 자체는 건강한 것이라는 잘못된 인식이 일반화되고 있음. 아무리 기묘한 주장이라도 충분히 많이 반복하면 점점 더 진실처럼 들리기 시작하게 마련이다. ## 저탄식의 진실 The Real Truth about Low-Carb Diets - 저탄식은 단기적으로 체중 감량에 효과를 보이지만, 비만의 원인은 그대로 둔 채 증상에만 집중하는 방법이기에 종종 다른 증상을 야기하거나 때론 비만조차도 더 악화시키곤 함. - 저탄식의 첫번째 문제는 효과가 단기적이라는 점. 많은 관찰 연구들은 고단백+고지방 식사가 비만과 관련된 여러 건강 문제와 명확한 연관성이 있음을 잘 드러냄.[^1][^2][^3] 비만은 고혈압, 동맥 폐쇄, 협심증 등과 마찬가지로 단지 증상에 불과하지만 마치 비만이 그 자체로 별개의 질병인냥 취급되는 게 문제. 암에 걸려도 체중이 줄어들지만 아무도 이걸 원하지 않음. 저탄식이 단기적 체중 감량을 일으키는 것도 별반 다르지 않음. 앳킨스 자신도 비만과 심정지 등 전형적인 고단백+고지방 식사의 부작용을 겪다가 사망. - 앳킨스 다이어트가 변비, 두통, 구취, 설사, 발진 등을 유발한다는 점은 여러 연구를 통해 잘 알려진 사실. 비타민 보충제를 섭취하더라도 차이는 없었음.[^4][^5] 앳킨스 다이어트의 부작용에 대한 연구들은 상당히 일관적이고 설득력 있음. 건강하지 못한 표준미국식과 비교해도 더 부작용이 심각함. ## 게리 타우브스와 저탄식 속임수Gary Taubes and Low-Carb Sleight of Hand - "Good Calories, Bad Calories" (2007), "Why We Get Fat" (<2011>) 의 저자인 <게리 타우브스>(저널리스트)는 최근 저탄식 운동에서 가장 눈에 띄는 인물. 그의 저서는 저탄식이 좋은 이유에 대한 다양한 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덕에 전문가인 저자가 구체적으로 비판할 수 있어서 좋음. ## 타우브스의 주장 중 맞는 부분들 Where Taubes Gets It Right - <칼로리 카운팅>(열량을 계산하면서 다이어트를 하는 방식)은 효과가 없다고 지적한 점은 옳음. - <칼로리>가 소화되고 흡수되어 몸 안에서의 분배되는 방식의 차이가, 단순한 칼로리 섭취량에 비해 훨씬 중요함. - 그냥 덜 먹고 더 운동하면 살이 빠진다는 설명은 과학적으로 타당하지도 않고 인간의 몸은 장기간 열량이 낮은 식사를 하면 버틸 수 없으며, 의지로 되는 일도 아님. 타우브스는 이 점을 잘 설명하였음. - 본인(C. Campbell)도 오래 전부터 권장 칼로리를 구체화된 수치로 제안하는 방식의 문제를 지적해왔음. ## 타우브스의 주장 중 틀린 부분들 Where Taubes Gets It Wrong 타우브스는 <탄수화물>로 섭취하는 칼로리가 "나쁜 칼로리"라고 규정. <당> 및 다른 탄수화물이 미국 및 여러 국가의 비만률의 원인이라고 주장. 타우브스의 문제점을 지적하려면 탄수화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 필요가 있음. 많은 저널리스트, 마케팅 대행사, 심지어는 의사들이 탄수화물의 정의와 의미를 명확히 모르고 있음. 탄수화물 - 예를 들어 <자당>만 따로 추출하여 섭취하면 건강에 해롭다는 점이 잘 알려져 있음. 하지만 저탄식 지지자들은 "정제당은 나쁘다"라는 사실로부터 "당을 포함하는 모든 음식은 나쁘다(따라서 탄수화물은 나쁘다)"라는 잘못된 결론을 내림. 타우브스의 주장은 다른 저탄식 지지자에 비해서는 그나마 더 정교하지만 여전히 문제적임. - <과일>, <채소>, <통곡류>는 모두 탄수화물 함량이 높음. 하지만 탄수화물의 종류를 정교하게 구분하지 않고 그냥 "탄수화물"로 묶어버리는 순간 문제가 됨. 탄수화물 함량이 낮은 식사는 거의 필연적으로 육식 위주의 식사이기 때문에 [지방](/pages/Fat.txt)(특히 [포화지방](/pages/Saturated%20fat.txt)) 함량이 높아짐. 또한 항산화 성분, 복합 탄수화물, <비타민>, <미네랄> 섭취를 줄이고 [단백질](/pages/Protein.txt) 섭취를 지나치게 늘리게 됨. 칼로리의 양과 출처 Number of calories vs. source of calories - 칼로리의 양보다 칼로리의 출처가 더 중요하다는 게 타우브스의 주장이라면, 적어도 그 점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동의. 식물-기반 식사와 동물-기반 식사는 영양성분 구성에 매우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단순히 칼로리의 총량이 얼마냐에 비해 훨씬 중요한 차이를 야기함. ## Appendix: The Paleo Diet (생략) ## Footnotes [^1]: https://pubmed.ncbi.nlm.nih.gov/12761365/ [^2]: https://pubmed.ncbi.nlm.nih.gov/15148064/ [^3]: https://pubmed.ncbi.nlm.nih.gov/3756806/ [^4]: https://pubmed.ncbi.nlm.nih.gov/15148063/ [^5]: https://pubmed.ncbi.nlm.nih.gov/12106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