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린 캠벨](/pages/Colin%20Campbell.txt)의 <2020년> 저서. 전작들과 겹치는 내용은 생략하고 영양학 내의 미신들을 비판하는 2부의 내용만 정리했다. ## 제5장. 동물성 단백질 숭배The Cult of Animal Protein 5장에서는 [단백질 신화](/pages/Protein%20myth.txt)의 기원을 분석한다. ## 제6장. 관련된 미신, 논쟁, 우회Related Myths, Debates, and Diversions **식이 콜레스테롤** 많은 이들은 먹은 콜레스테롤(<식이 콜레스테롤>)이 <혈중 콜레스테롤>과 바로 연결된다고 착각하고 있다. 따라서 <식이 콜레스테롤>이 <심장 질환>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라고 믿는다. 이 미신은 100년 간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수많은 연구에 의하면 <식이 콜레스테롤>이 아니라 <동물성 단백질>이 문제임이 밝혀졌다. 저명한 심장 질환 전문가인 <안셀 키즈>는 "<식이 콜레스테롤> 그 자체는 …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에 거의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이 이제는 명백하다"고 말했다. 반면 <식물성 단백질>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높이지 않는다. **포화지방** [포화지방](/pages/Saturated%20fat.txt) 섭취가 높은 <혈중 콜레스테롤> 및 <심장 질환>과 연관되어 있다는 연구가 알려지며 포화지방은 "나쁜 지방"이라는 편견이 생겼다. 반면 [불포화지방](/pages/Unsaturated%20fat.txt)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기 때문에 "좋은 지방"이라고 믿는다. 하지만 이는 지나친 단순화다. 저자는 포화지방과 심잘 질환 사이의 연관은 <동물성 단백질>로 인한 것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근거: - 여성 90,000명을 대상으로 한 코호트 연구(])에 따르면 <식이지방> 섭취를 줄려도 <유방암> 위험이 낮아지지 않았다. - <생화학>적 관점에서, [포화지방](/pages/Saturated%20fat.txt)은 상대적으로 비활성이며 <질병>을 일으키기 어렵다. - [포화지방](/pages/Saturated%20fat.txt)이 <암>이나 <심장 질환>을 유발한다는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2014년 연구> - [포화지방](/pages/Saturated%20fat.txt) 섭취를 줄였을 때 [심혈관계 질환](/pages/Cardiovascular%20disease.txt) 또는 기타 이유로 인한 사망률이 낮아진다고 볼 수 있는 일관된 근거가 없음. (2018, ) - 저지방 식이와 저지방+<대두 단백> 식이를 비교했을 때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의 차이가 미미했음. 즉 <동물성 단백질>을 줄이는 게 더 중요. **<트랜스지방>, [오메가3](/pages/Omega-3%20fatty%20acid.txt), <오메가 6>**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