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의 '나무'는 수학적 구조인 <트리 구조>를 뜻한다. 저자는 이 구조를 또다른 수학적 구조인 <반격자semilattice>와 대비시킨다. ## 도입 구조에 대해 더 말하기에 앞서 도시를 두 종류로 구분하며 시작. - **자연도시natural city**: 자연적으로 생겨난 도시 - **인공도시artificial city**: 도시 계획 등에 의해 현대에 설계된 도시 저자는 자연도시에는 있던 어떤 핵심적인 재료가 인공도시에는 빠진 느낌이 있다. 고대의 자연도시와 달리 현대의 인공도시에는 삶의 빛깔patina of life이 깃들지 않는다. (*'삶의 빛깔'이란 아마도 이후에 [Quality without a name](/pages/Quality%20without%20a%20name.txt)이라고 말하는 개념과 이어지는 것 같다. --ak*) 현대의 많은 건축 디자이너들이 자연도시의 겉모양을 흉내내면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지만 겉모양이 아닌 더 추상적인 질서의 원리(?)를 찾는 게 중요하며, 자연도시는 반격자 구조를 가지는 반면 인공도시는 트리 구조를 가진다는 게 본질적 차이이다. ## 트리와 반격자 서로 다른 요소들이 어떤 식으로 서로 함께 작용하며 어떤 기능을 수행한다면 이 요소들의 집합을 시스템이라고 부른다. 예를들어 사거리에 상점이 있고 상점 입구에는 신문가판대가 있다. 보행자 신호를 기다리는 행인들은 다른 할 일이 없으므로 신문을 읽거나 구매한다. 이는 신문, 가판대, 행인, 신호등, 횡단보도, 동전, 전기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시스템이다. 도시를 설계하는 디자이너에겐 이 중에서도 바뀌지 않는 정적 요소들이 중요한데, 정적 요소들은 시스템에서 전개되는 동적 사건을 담는 그릇이기 때문이다. C.A.는 도시의 정적인 한 부분을 단위unit라고 부른다. 단위를 단위이게 만드는 응집력cohesion은 단위를 구성하는 요소를 묶는 힘과 단위를 포함하는 더 큰 시스템의 동적 응집력에 의해 나타난다. C.A.는 요소들이 단위를 이루는 재귀적인 방식은 트리와 반격자로 구분하여 대비한다. 예를 들어 다음은 {1,2,3,4,5,6} 총 여섯 개의 요소로 이루어진 시스템에서 일부 부분집합(하위 요소)을 취한 두 구조의 차이를 보여준다. 첫번째 구조는 반격자, 두번째 구조는 트리이다. - 반격자 구조에서는 어떤 두 단위가 서로 겹치는 경우 그 겹치는 영역은 언제나 그 자체로 해당 구조에 속한 또하나의 단위가 된다. 예를 들어 {상점,가판대}로 이루어진 단위가 있고 {가판대,신호등,횡단보도}로 이루어진 단위가 있다면 두 단위에 모두 포함되는 교집합 {가판대}도 반드시 단위라는 뜻. - 트리 구조에서는 어떤 요소가 한 구조에 속하면 다른 요소에 속할 수 없다. (정의상 모든 트리는 반격자에 속하지만 이 글에서는 트리와 트리가 아닌 반격자의 차이를 대비) 20개 요소로 이루어진 트리는 최대 19개의 부분집합을 가질 수 있지만, 반격자는 1백만개 이상의 부분집합을 가질 수 있다. 자연도시는 반격자 구조인 반면 인공도시는 트리 구조이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단순하며 이게 바로 자연도시와 인공도시를 구분짓는 가장 큰 차이이다. 도시의 외관이 유기적으로 생겼는지 아닌지는 중요치 않다. 도시를 구성하는 유닛의 부분-전체 관계가 트리 구조인지 반격자 구조인지가 중요하다. 트리 구조에서, 하나의 요소는 오로지 하나의 유닛에 속할 뿐, 그 이외의 방식으로 다른 유닛과 연결될 수 없다. 대학 캠퍼스와 캠퍼스가 아닌 나머지 마을을 명확히 구분짓는 경계라는 개념은 부자연스럽다. 도시와 대학이 함께 자연스럽게 성장한 케임브리지의 경우 물리적 단위들이 서로 겹쳐진 반격자 구조를 띈다. ## 트리로 설계된 도시는 사람들의 삶을 조각낸다 트리는 자연도시의 실제 구조를 잘 설명하지 못한다. 그럼에도 디자이너가 도시를 트리로 설계하는 이유는 인간의 마음이 반격자 구조의 복잡성을 잘 다루지 못하기 때문이다. 자연도시의 일부가 인공도시로 대체될때마다 도시는 점점 더 분열dissociate된다. 구조화된 물체가 파괴될 때 그 첫 신호는 극도의 파편화와 내부 요소의 분열로 나타난다. 사회의 분열은 무정부상태이고 개인의 <해리>(분열)는 조현병의 특성이다. 트리는 복잡한 사고를 인간의 머리에 담을 때 유용하만, 도시는 트리가 아니다. 도시는 삶을 담는 그릇이다. 트리 구조로 설계된 도시는 면도날로 가득찬 그릇과 같고, 이 그릇에 무엇을 담건 조각날 수 밖에 없다. 도시를 트리로 설계하면 그 도시에 사는 사람들의 삶을 조각내게 된다. ^city-is-not-a-tree ## 개인 메모 소프트웨어 설계, 조직 구조, 정보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해볼 수 있겠다. - [정보는 나무가 아니다](/pages/Information%20structure%20is%20not%20a%20tree.t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