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식의 성정치](/pages/The%20sexual%20politics%20of%20meat.txt)에서 <캐롤 J. 애덤스>는 고기가 텍스트라고 주장한다. ## 텍스트에 대한 재정의 이 말을 이해하려면 텍스트에 대한 정의를 좀 더 넓혀야 한다. 저자는 다음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하면 무엇이든 텍스트로 간주할 수 있다고 말한다(이 제시한 기준을 저자가 재해석): 1. 인식 가능한 메시지가 담겨 있을 것 (a recognizable message) 2. 담긴 의미가 변하지 않아서 반복하여 동일한 의미를 읽어낼 수 있을 것 (an unchangeability of the text's meaning so that through repetition the same meaning recurs) 3. 정합적인 체계를 담고 있을 것 (a system of relations that reveal coherence) ## 고기라는 텍스트 위 기준에 따르면 고기는 텍스트다. 왜냐하면… 1. '고기'는 동물의 시체가 음식이며 핵심적인 영양원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고 (하지만 이는 미신이다. [단백질 미신](/pages/Protein%20myth.txt)) 2. 식사 시간, 광고, 대화 등에서 변치않고 반복적으로 그 의미가 표출되며 3. 식량 생산, 동물에 대한 태도, 동물 학대에 대한 용인 등으로 구성된 [일관된 체계](/pages/Violent%20ideology.txt)를 구성하기 때문. ## Thomas Sebeok의 정의 텍스트에 대한 <캐롤 J. 애덤스>의 정의는 의 글 을 바탕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T. Sebeok의 원래 정의는 이렇다. 1. Clear-cut boundaries which isolate the message as such; non-ambiguous formal marks which delimit a finite set of interwoven meaningful elements, 2. Direct, or indirect, permanence through time, giving the possibility of "reading" it again and again as an "immutable synchrony" or an "a-chronic present"; the possibility of repetition can be insured through the material invariability of the message, or through the capacity of exactly memorizing its production, 3. A deep system of relations insuring its surface coherency or, in other words, a structure accounting for its understandability; i.e. the possibility of building up from its elements a network of relations including the totality of the actual terms and their re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