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mperature data logger > 콜드 체인 등에서 사용하는 온도 감지, 기록, 모니터링 장치. [콜드 체인](https://wiki.g15e.com/pages/Cold%20chain.txt) 등에서 사용하는 온도 감지, 기록, 모니터링 장치. ## 형태 [타코메타](https://wiki.g15e.com/pages/Tachometer.txt): - 흔히 "타코메타"라고 (잘못) 불리는 1세대 장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영수증 종이에 온도가 출력된다. - 일부 장치는 종이 출력과 더불어 <블루투스> 전송을 지원하기도 한다. GPS 트래커: - GPS 트래커와 결합된 온도 기록 장치를 그냥 "GPS 트래커"라고 부르기도 한다. USB 데이터 로거: - USB 메모리와 결합된 소형 온도 기록 장치. - 보통은 통신 기능이 없기 때문에 여전히 컴퓨터에 연결하여 데이터 파일을 읽어내는 수작업이 필요하다. 무선 데이터 로거: - 나 <블루투스> 등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내장된 온도 기록 장치 - USB 데이터 로거에 비해 편리하지만 RFID 리더 또는 블루투스 연동을 위한 소프트웨어(주로 스마트폰에 설치) 등이 필요하다. - <루티>에서 제공하는 온도 관제 시스템이 사용하는 방식. 단말기의 역할: 1) 기존의 차량 온도 기록계(블루투스 전송을 지원하는 타코메타)로부터 정보를 수신, 2) 운전자의 스마트폰 앱과 연동하여 데이터를 전송.[^1][^2] (아마도) 앱이 센터로 데이터를 다시 전송. 웹 기반 데이터 로거: - , 등을 지원하는 온도 기록 장치. - 차량에 게이트웨이를 설치하거나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에 게이트웨이를 설치하여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 패키지가 게이트웨이 근처를 벗어나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QR 방식: - [윌로그](https://wiki.g15e.com/pages/Willog.txt) 제품 - 전자 잉크 패널에 [QR code](https://wiki.g15e.com/pages/QR%20code.txt)를 표시하는 방식 - 압축 기술을 적용하여 QR 자체에 온도 데이터를 모두 담을 수 있음[^3] ## 용어 [타코메타](https://wiki.g15e.com/pages/Tachometer.txt)를 1세대 온도 혹은 온습도 기록 장치라는 의미로 종종 사용하는 것 같다. 하지만 타코메타는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장치라서 사실 온습도 기록과는 무관하다. 운행 시간 등을 일정 간격으로 기록하는 <타코그래프>라는 장치가 있는데, 일부 타코그래프는 온도, 습도 등을 함께 기록한다고 한다. 어쩌면 여기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 국내에서 [콜드 체인](https://wiki.g15e.com/pages/Cold%20chain.txt) 관련 논의를 하면서 타코메타라는 용어를 쓴다면 아마도 온도 기록 장치를 뜻할 가능성이 높다. ## 제품들 - [윌로그](https://willog.io/solution/bio): - 전자 잉크 패널에 [QR code](https://wiki.g15e.com/pages/QR%20code.txt)를 표시하는 방식, 압축 기술을 적용하여 QR 자체에 온도 데이터를 모두 담는 게 장점.[^3] 그 외에도 LTE 4G/2G 등을 지원하는 방식 다양한 상품이 있음. - 온도가 10분 단위로 기록되는 것으로 보임[^4] - [LG U+ 차량 관제 서비스](https://www.lguplus.com/biz/all/telecom/wireless/uplus-vehicle/B000000046) - 위치 확인, 온도 관제 등을 제공. 화물칸 온도 감지는 유료 부가 서비스. - 차량 운행 정보 <교통안전공단>의 [운행분석기록시스템](https://wiki.g15e.com/pages/%EC%9A%B4%ED%96%89%EB%B6%84%EC%84%9D%EA%B8%B0%EB%A1%9D%EC%8B%9C%EC%8A%A4%ED%85%9C.txt) 자동 전송 - DTG운행기록계 관제솔루션은 제휴사(ITMT) 사이트로 이용 - 온도 센서 자체는 (호환되는 장비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것으로 보임. ## Footnotes [^1]: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roouty&logNo=223366758563 [^2]: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roouty&logNo=223459973674 [^3]: "일반적인 QR코드에 담을 수 있는 데이터(40버전 - 숫자 7089자)보다 최대 4배의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도록 용량을 최소화", https://blog.willog.io/press-release/willog-development-new-technology/ [^4]: https://willog.io/technology/device 중 캡쳐된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