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차별적](/pages/Speciesism.txt) 편견을 강화하고 다른 종에 대한 억압을 정당화하는 단어나 표현. 여성을 "싱싱한 고기"에 비유하는 등 많은 [성차별적](/pages/Sexism.txt) 표현들이 종차별적 언어에 근간을 두고 있기도 하다. ## 사례 페미니스트이자 동물권 활동가인 는 "성차별적 단어들의 종차별적 기원Sexist Words, Speciesist Roots"이라는 글에서 다양한 사례를 소개한다. - "남자는 늑대"라는 표현과 달리 실제 늑대는 여러 암컷들과 일시적으로 만나지 않는다. 대부분의 늑대는 <일부일처제>를 꾸준히 지속한다. 이 표현은 다른 한편으로 일부일처제는 좋은 것 또는 정상적인 것이라는 편견을 강화하는 문제도 있다. - 영어 표현에서 "chicken"은 겁쟁이를 뜻한다. 하지만 실제 닭은 겁쟁이가 아니다. 닭 무리의 우두머리는 무리를 지키기 위해 위험에 맞서 용감하게 싸운다. - 영어 표현에서 "chick"는 어린 여성을 뜻하기도 하는데 남성을 "chick"이라고 부르면 "계집애" 같은 비하적 느낌으로 인식된다. 한편 한국에서 "계집+애"가 비하적 의미를 가지게 된 배경엔 [성차별](/pages/Sexism.txt)과 [나이차별](/pages/Ageism.txt)이 놓여 있다. 종차별, 성차별, 나이차별이 연결되는 사례. - "돼지처럼 땀을 흘린다"는 표현도 흔하게 쓰이지만 사실 <돼지>는 <땀샘>이 없기에 땀을 흘리지 않으며 서식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편이다. 돼지가 진흙을 몸에 바르는 이유는 더러워서가 아니라 땀샘이 없기 때문에 더운 날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행동일 뿐이다. - "돼지처럼 먹는다"는 말도 많이 쓰지만 돼지는 <인간>과 달리 좀처럼 과식을 하지 않는다. - 영어 표현에서 "rat"은 배신자 또는 밀고자라는 뜻이 있다. 하지만 쥐는 대단히 협력적인 종이며 어리거나 나이 많은 개체들을 잘 돌보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 종차별적 언어의 문제 다른 종에 대한 모든 부정적 이미지는 해당 종에 대한 억압의 지속을 돕는다. 종차별적 언어는 이러한 부정적 이미지를 만들고 유지하는 가장 강력한 장치 중 하나다. 종차별적 언어는 또한 인간 대 동물이라는 <잘못된 이분법>을 강화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분법은 심리적 거리두기를 가능케하여 인간이 죄책감 없이 <비인간 동물>을 학대할 수 있도록 만들기도 한다. J. Dunayer는 이렇게 말한다. > 동물들에게 부여된 각종 모욕적 편견이 실제로 해당 동물의 특성인 경우는 드물다. 동물에게 덧씌워진 특성은 사실 인간의 부정적 특성에 불과하다. ## 동물의 행태를 미화하는 언어 J. Dunayer는 주로 부정적 측면을 다뤘지만, 인종차별이나 성차별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에 비추어 생각해보면 동물의 행태를 미화하는 언어 또한 종차별적 언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성 신화'는 여성에게 특정한 성역할을 덧씌우고 어머니에게 절대적인 희생을 강요하는 잘못된 관습과 통념을 부추긴다는 점에서 성차별적이다. '순수한 청소년' 같은 말은 연령차별적일 수 있으며, 미국 백인들 사이에 만연한 미국 원주민에 대한 '[고상한 야만인](/pages/Noble%20savage.txt)' 신화는 인종차별 또는 문화차별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동물의 행태를 미화하는 차별적 표현에는 '동물은 인간과 달리 욕심을 부리지 않는다', '동물은 불필요한 살생을 하지 않는다' 등이 포함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