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plit > AI 지원 프로그래밍 및 에이전트 기반 코딩 도구 중 하나. [AI 지원 프로그래밍](https://wiki.g15e.com/pages/AI-aided%20programming.txt) 및 [에이전트 기반 코딩](https://wiki.g15e.com/pages/Agentic%20coding.txt) 도구 중 하나. ## 사용 후기 [GitHub Copilot](https://wiki.g15e.com/pages/GitHub%20Copilot.txt)이나 [Cursor](https://wiki.g15e.com/pages/Cursor%20(software.txt))와 비교했을 때 차이점(<2025년 3월> 기준): - 를 써서 에이전트 실행 환경을 잘 관리하는 점, 에이전트가 혼자 더 길게 일하는 점 등이 눈에 띈다. - 파일 트리나 코드 편집기 등 "복잡해보이는" 요소들을 덜 드러나게 감추고, AI 에이전트와의 대화창과 생성된 결과물 미리보기 화면을 전면에 내세워서 비개발자가 쉽게 다가가게 만들었다. - 과금 유도 설계도 재미있다. 일단 뭐가 만들어져서 작동하는 걸 보여주는데, 이걸 실제로 배포하려면 돈을 내야 한다. 만들어진 코드를 [git](https://wiki.g15e.com/pages/git.txt)에 연결하거나 zip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지만, 프롬프트로 [바이브 코딩](https://wiki.g15e.com/pages/Vibe%20coding.txt)하는 비개발직군 사람들에게는 배포가 큰 허들일테니 괜찮은 전략 같다. ## Articles - 2025-07-21 - [Introducing a safer way to Vibe Code with Replit Databases](https://blog.replit.com/introducing-a-safer-way-to-vibe-code-with-replit-databases) - Production DB와 Dev DB를 분리 - 2025-07-16 - [Introducing Domain Purchasing on Replit](https://blog.replit.com/domain-purchasing-on-replit) - 바이브 코딩을 한 뒤에 도메인을 검색하고 구매해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 꾸준히 "배포" 쪽으로 날을 세우는 중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