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dictive brain hypothesis > 예측과 기대가 지각의 핵심이라는 가설. 감각 정보는 예측 오류 보정 및 개선에 쓰이며, 행위자는 예측에 부합하는 행위를 하여 능동적으로 다음 지각에 영향을 준다. 즉, 행동은 예측의 자기 실현이다. 예측과 기대가 지각의 핵심이라는 가설. 감각 정보는 예측 오류 보정 및 개선에 쓰이며, 행위자는 예측에 부합하는 행위를 하여 능동적으로 다음 지각에 영향을 준다. 즉, [행동은 예측의 자기 실현](https://wiki.g15e.com/pages/Action%20as%20self-fulfilling%20prediction.txt)이다. ## 전통적 견해와의 차이 전통적 견해에 따르면 지각은 감각 정보를 수동적으로 수용하고 뇌에서 연산을 한 후 행동을 실행한다. 좀 더 최근 견해에 따르면 지각은 예측과 기대에 영향을 받는다. 즉 top-down processing이 존재한다. 예측처리 견해에서는 예측 없는 날 것의 경험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지각과 행동은 별개의 '단계'가 아니라 끊임없이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흐름이다. ## 근거들 - [Feedback from V1 to LGN](https://wiki.g15e.com/pages/Feedback%20from%20V1%20to%20LGN.txt) - [Functional visual loss](https://wiki.g15e.com/pages/Functional%20visual%20loss.txt) ## Articles - 2014-10-06 - [Autism as a disorder of prediction](https://wiki.g15e.com/pages/Autism%20as%20a%20disorder%20of%20prediction.txt) ## See also - [The experience machine: How our minds predict and shape reality](https://wiki.g15e.com/pages/The%20experience%20machine%20-%20How%20our%20minds%20predict%20and%20shape%20reality.txt): '예측하는 뇌 가설'을 쉽게 설명하는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