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lant vision > 식물의 시각에 대해. 식물의 시각에 대해. ## 굴광성 식물이 빛에 반응한다는 점(<굴광성>)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1900년대](https://wiki.g15e.com/pages/1900s.txt) 초반 식물의 일부 조직이 빛을 정교하게 모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도 알려진다. 다음은 자주달개비(tradescantia fluminensis)의 상피세포에 맺힌 상:[^1] ![Tradescantia fluminensis cells.png](Tradescantia%20fluminensis%20cells.png) ## 시각을 이용한 모방 가설 <2014년>, 한 식물종()이 인근에 있는 다른 식물들의 잎모양을 모방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2] 기존에도 배경색이나 패턴을 따라하거나, 단일 종의 잎모양을 모방하는 식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있으나 다양한 식물종을 모방하는 종은 처음. 숙주 식물의 휘발성 화학물질에 반응한다는 가설, 숙주로부터의 <수평적 유전자 이동> 가설 등이 제시되었으나, <2022년>의 한 연구에서 플라스틱으로 만든 가짜 식물의 잎모양도 모방한다는 점을 밝혀지며 기존 가설들이 기각된다.[^3] 해당 연구에서는 해당 식물이 [안점](https://wiki.g15e.com/pages/Ocellus.txt)을 이용하여 인근 식물의 잎모양을 "보고" 모방한다는 가설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 Footnotes [^1]: 1884, , Physiological Plant Anatomy [^2]: [Leaf mimicry in a climbing plant protects against herbivory](https://wiki.g15e.com/pages/Leaf%20mimicry%20in%20a%20climbing%20plant%20protects%20against%20herbivory.txt) [^3]: [Boquila trifoliolata mimics leaves of an artificial plastic host plant](https://wiki.g15e.com/pages/Boquila%20trifoliolata%20mimics%20leaves%20of%20an%20artificial%20plastic%20host%20plant.t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