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lacebo > 위약. 예측하는 뇌 가설에서는 위약 효과를 정밀도 변동 가설로 설명한다. 위약. [예측하는 뇌 가설](https://wiki.g15e.com/pages/Predictive%20brain%20hypothesis.txt)에서는 위약 효과를 [정밀도 변동](https://wiki.g15e.com/pages/Precision%20variations.txt) 가설로 설명한다. 위약을 알약으로 복용할 때에 비해 주사로 투여하면 플라시보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고 한다. 환자가 경구 투약에 비해 주사가 더 강력한 의료적 개입이라고 믿는 경향이 있기 때문.[^1] ## See also - [정직한 플라시보](https://wiki.g15e.com/pages/Honest%20placebo.txt) ## Footnotes [^1]: Chapter 2, [The experience machine: How our minds predict and shape reality](https://wiki.g15e.com/pages/The%20experience%20machine%20-%20How%20our%20minds%20predict%20and%20shape%20reality.t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