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ental investment > 새끼에 대한 어미의 투자량. Robert Trivers가 1972년에 고안된 개념. 새끼에 대한 어미의 투자량. 가 <1972년>에 고안된 개념. 정의: > 실제로 어미가 새끼를 편애한다고 할 때 그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 답은 어미가 이용할 수 있는 여러 자원을 새끼들에게 불균등하게 투자한다는 것이다. 어미가 투자할 수 있는 자원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 이들 모든 자원을 측정하는 공통의 통화를 생각해 내는 것은 어렵다. 인간 사회에서는 … 보편적인 통화로서 화폐가 사용되고 있다. 그것과 마찬가지로 여기서는 개개의 [생존 기계](https://wiki.g15e.com/pages/Survival%20machine.txt)가 다른 개체, 특히 새끼의 생명에 대해 투자하는 여러 자원을 측정하기 위한 하나의 척도가 필요하다. … [부양 투자](https://wiki.g15e.com/pages/Parental%20investment.txt)는 '한 아이에 대한 부모의 투자로서 그 아이의 생존 확률은 증가시키면서 동시에 다른 아이에 대한 부양 투자 능력을 희생시키는 모든 것'으로 정의된다.--p201-203, [이기적 유전자](https://wiki.g15e.com/pages/The%20selfish%20gene.txt) 투양 투자 이론에 따르면 두 가지 가정이 성립: > 's theory of [Parental investment](https://wiki.g15e.com/pages/Parental%20investment.txt) and [Sexual selection](https://wiki.g15e.com/pages/Sexual%20selection.txt) makes two profound predictions: > > 1. The sex that invests more in offspring (typically, but not always, the female) will be more discriminating or selective about mating; and > 2. the sex that invess less in offspring will e more competitive for sexual access to the high-investing sex. > > In the human case, it is clear that women have greater obligatory [Parental investment](https://wiki.g15e.com/pages/Parental%20investment.txt). To produce a single child, women must endure a nine-month pregnancy, whereas men can produce that same child with as little as a few minutes of investment. When it comes to long-term mating or marriage, however, it is equally clear that both men and women invest heavily in children, and so the theory of [Parental investment](https://wiki.g15e.com/pages/Parental%20investment.txt) predicts that oth sexes should be very choosy and discriminating. --p107, [Evolutionary psychology](https://wiki.g15e.com/pages/Evolutionary%20psychology%20(book.t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