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rigin of index variable name > for 인덱스 변수 i의 유래에 대한 믿을만한 설명: https://porges.github.io/programming-history/topics/index-variables.html for 인덱스 변수 i의 유래에 대한 믿을만한 설명: https://porges.github.io/programming-history/topics/index-variables.html 오일러가 <1755년>부터 Σ 표기법을 쓰기 시작했으나 널리 채택되지 않았고 i를 쓰지도 않았음. <1822년>에 퓨리에(퓨리에 변환의 그 퓨리에)가 Σ 표기법에서 i를 인덱스 변수로 쓰기 시작한 게 아마도 유래인 것 같음. (여기서부터는 위 문서에 있는 내용 아님) 수학에서 행렬을 다룰 때에도 i,j를 쓰는데, 행렬 자체는 오래된 개념이지만 현대의 표기법은 [1920년대](https://wiki.g15e.com/pages/1920s.txt)부터라고 하니 역시 퓨리에가 먼저인 것 같음. <포트란>에서는 정수형 변수가 반드시 I,J,K,L,M,N 중 하나로 시작해야 했고 루프 인덱스도 주로 I를 사용했으나, 이는 이미 위에서 언급한 수학적 표기법들(sigma notation 및 matrix)의 영향을 받은 결과인 걸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