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n human nature > 종교: 종교: > 만일 인류가 [찰스 다윈](https://wiki.g15e.com/pages/Charles%20Darwin.txt)의 [자연선택](https://wiki.g15e.com/pages/Natural%20selection.txt)을 통해 진화한다면, 생물 종은 신에 의해 창조되는 것이 아니라 유전자의 우연과 환경의 필연에 의해 창조될 것이다. 신은 물질을 이루는 최소 단위인 쿼크와 전자 껍질의 기원으로서 여전히 탐구될 수는 있으나, 종의 기원으로서는 아니다. --p24 분야와 반분야. <사회생물학>이란? > 대다수 생물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발전은 세포생물학과 생화학, 즉 분야와 반분야로부터 나온 다양한 관점과 기술의 경쟁을 통해 촉진되어 온 것이다. 그러한 상호 경쟁은 과학적 유물론의 승리를 가져오기도 했다. 그것은 생명의 본질에 대한 우리의 지식을 아주 풍성하게 해 왔고, 과학 이전 문화의 그 어떠한 심상보다 더 강렬한 문학 소재들을 창조해 왔다. > > 나는 우리가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생물학과 사회과학을 통합시켜, 결국은 서구 지성이 이룩한 두 문화가 마침내 통합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p34-35 린네: > <1758년>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린네>가 학술적인 분류법 연구를 시작한 이래로 동물학자들은 동물 약 100만 종의 목록을 작성하여, 각각에 학명을 부여하고, 학술지에 그들의 특징을 발표하여 전 세계 여러 박물관 안에 그들이 놓일 작은 공간도 마련했다. … 학자들은 특정 서식지를 집중 조사한 결과를 근거로 하여, 전세계 동물종의 수를 300만에서 1,000만 종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박물학자인 가 자신의 책 제목에 썼듯이, 생물학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행성에 사는> 생명을 연구하는 학문인 것이다. --p41-42 사회생물학의 연구 대상: > 이 수많은 동물종 가운데 수천 종은 고도의 사회성을 지니고 있다. 그중 내가 동물 사회성 진화의 세 정점이라고 부르는, 산호와 이끼벌레 등의 군체 형성 무척추동물, 개미/말벌/꿀벌/흰개미 등의 사회성 곤충, 그리고 사회성을 지닌 어류/조류/포유동물들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의 모든 사회적 행동의 생물학적 원리에 관한 체계적 연구라고 정의되는, 사회생물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의 주요 연구 대상이 된다. --p42 인간 본성과 유전자: > 인간 본성의 일반 형질들은, 다른 모든 종들의 형질이라는 거대한 배경 앞에 놓고 보면 유한하며 특이해 보인다. 그러나 더 많은 증거들은 수많은 상투적인 형태의 인간 행동들이 인발 진화론에서 예측한 대로 포유동물의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영장류의 특징에 해당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인 사회 생활과 정신적 특성을 볼 때 ,침팬지는 이전에는 비교 자체가 부적당하다고 여겼던 영역들에서도 인간과 거의 같은 등급에 놓일 수 있을 정도로 우리 인간과 가깝다. 이런 사실은 인간의 사회적 행동이 유전적 토대 위에 있다는 가설, 더 정확히 말하면 인간의 행동이 근연 관계에 있는 종들과 공유하고 있는 일부 유전자와 인간 종 고유의 유전자로 조직된다는 가설과 일치한다. --p63 인류가 갖는 생물학적 통일성: >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원인이 현재까지 살아 있고, 이들이 침팬지와 인간의 중간 수준의 지능을 지니고 있고, 유전적으로는 침팬지와 인간 양쪽과 영구적으로 격리되어 있으며, 언어 및 고도의 이성 측면에서는 우리보다 약간 뒤쳐진 상태에서 진화하고 있다고 했을 때, 우리가 품게 될 윤리적 혐오감을 상상해보라. > > 우리는 그들에게 어떤 의무를 질 것인가? 신학자들은 무엇이라고 말할 것인가? 혹은 그들에게서 억압된 계급의 궁극적인 형태를 볼지도 모를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어떠한가? … 나아가 이보다 더 나쁜 상황을 상상할 수도 있다. 우리가 인간보다 정신적으로 더 우월한 종, 말하자면 호모 슈퍼부스(Homo superbus)와 공존한다고 했을 때, 미미한 자매종인 우리 호모 사피엔스가 도덕적 문제로 간주되는 곤혹스러운 상황을 상상해보라. --p86 종교의 생태학: > (종교가) 점점 더 정교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인류학과 역사학은 초보적인 종교일수록 순수한 세속적 보상 - 긴 수명, 기름진 땅과 풍족한 식량, 재앙의 회피, 적의 정복 - 을 위해 초자연적 존재를 추구한다는 막스 베버의 결론을 여전히 지지하고 있다. 더 발전된 종교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분파 사이에 경쟁이 일어나기도 하는데, 이때 일종의 문화적 [다윈주의](https://wiki.g15e.com/pages/Darwinism.txt)가 작용하기도 한다. 신자들을 규합하는 분파는 성장하고 그렇지 못한 분파는 사라진다. 따라서 종교도 성직자들의 복지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한다는 점에서 인간의 다른 제도들과 다르지 않다. 이 인구 통계학적 이득은 집단 전체에 귀속되어야 하므로, 그것은 일부는 이타주의를 통해서 그리고 일부는 착취를 통해서, 말하자면 어떤 분파가 타분파들의 희생으로 이익을 얻음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아니면 그 이익이 구성원 모두의 적합성을 총체적으로 증가시키는 쪽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그 결과 사회 용어상으로 더 억압적인 종교와 더 자비로운 종교의 구분이 생긴다. > > 생태학에는 "최대 경쟁은 요구 사항이 동일한 종 사이에서 일어난다"는 [가우스 법칙](https://wiki.g15e.com/pages/Competitive%20exclusion%20principle.txt)이 있다. 비슷한 의미에서 종교가 거의 베풀지 않는 형태의 이타주의가 있는데, 그것은 다른 종교에 대한 관용이다. 종교끼리의 적대감은 사회가 붕괴될 때 강화된다. 종교는 경제적 착취라는 목적에 종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복자의 종교는 칼이 되고, 피 정복자의 종교는 방패가 된다. --p242-243 > > 무당과 사제의 자기 기만은 자신들의 연기를 완성시키며, 신자들에게 행해지는 기만을 강화시킨다. --p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