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eme > 자기 복제자의 일종. 1976년에 리차드 도킨스가 이기적 유전자에서 소개한 개념. 모방을 의미하는 mimesis와 gene을 합친 단어. [자기 복제자](https://wiki.g15e.com/pages/Self%20replicator.txt)의 일종. <1976년>에 [리차드 도킨스](https://wiki.g15e.com/pages/Richard%20Dawkins.txt)가 [이기적 유전자](https://wiki.g15e.com/pages/The%20selfish%20gene.txt)에서 소개한 개념. 모방을 의미하는 mimesis와 gene을 합친 단어. ## 정의 [이기적 유전자](https://wiki.g15e.com/pages/The%20selfish%20gene.txt)에서의 정의: > 필자는 새로운 종류의 복제자가 최근에 바로 이 지구 위에 나타났다고 생각한다. … 그것은 여전히 어린 상태로 있어서 진화의 토대가 될 원시 수프(primeval soup)를 찾아 허둥지둥 떠돌아다니지만, 헐떡이며 따라오는 구시대의 유전자를 저 뒤에 남겨 놓을 만큼의 진화의 속도를 벌써 획득하고 있다. … 그 새로운 수프는 문화의 수프이다. 그 새로운 복제자에 대한 어떤 이름이 필요한데, 문화의 전달 단위나 모방 단위라는 개념을 함축하고 있는 명사이어야 할 것이다. > > 모방에 알맞은 그리스어의 어근은 'mimeme'라는 것인데 내가 바라는 것은 'gene'이라는 단어와 발음이 유사한 단음절의 단어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위에서 이야기한 <그리스>어의 어근을 'Meme'으로 줄여야 하는데 이에 대해 고전학자들의 관용을 바라는 바이다. 만약 이것이 허락된다면 Meme이라는 단어는 기억(memory) 또는 이것에 상당하는 프랑스어(meme) 단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가 있을 것이다. > > Meme의 예에는 곡조나 사상, 표어, 의복의 양식, 단지 만드는 법, 또는 아치 건조법 등이 있다. 유전자가 유전자 풀 내에서 번식하는 데 <정자>나 <난자>를 우난체로 하여 몸에서 몸으로 뛰어넘는 것과 같이 Meme이 Meme 풀 내에서 번식할 때에는 넓은 의미로 모방이라고 할 수 있는 과정을 매개로 하여 뇌에서 뇌로 건너다니는 것이다. 만약 과학자가 좋은 생각을 듣거나 또는 읽거나 하면 그는 동료나 학생에게 그것을 전할 것이다. 그는 논문이나 강연에서도 그것을 언급할 것이다. 이처럼 그 생각을 잘 이해하면 [뇌](https://wiki.g15e.com/pages/Brain.txt)에서 뇌로 퍼져 자기 복제한다고 말할 수 있다. > > 내 동료인 <험프리>는 이 장의 초고를 솜씨 좋게 요약하여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 > > Meme은 비유로서가 아닌 엄밀한 의미에서 살아 있는 구조로 간주해야 하다. 당신이 내 머리에 번식력 있는 Meme을 심어 놓는다는 것은 문자대로 당신이 내 뇌에 기생한다고 하는 것이다.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의 유전 기구에 기생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나의 뇌는 그 Meme의 번식용의 운반체가 되어버린다. 이것은 단순한 비유가 아니다. 예컨대 '사후에 생명이 있다는 믿음'이라는 Meme은 <신경계>의 하나의 구조로서 수백만 번 전 세계 사람들 속에 육체적으로 실현되어 있지 않은가. > > --p308,309 의 정의: > A meme (rhymes with "dream", but comes from mimetic and memory) is a unit of information that replicates from brains or retention systems, such as books, to other brains or retention systems. --[Memetics](http://pespmc1.vub.ac.be/MEMES.html) ## 메모 인간의 뇌 없이도 밈은 존재할 수 있다. 인간의 뇌는 밈 복제 기구로써 지극히 불완전하다. 장수성도 낮고(망각), 다산성도 낮으며(비효율적인 정보 전달 수단인 음성 발화 등을 통해 전송되어야 하므로), 정확도도 낮다(기억의 왜곡). --AK,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