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naging context on the Claude Developer Platform > Claude의 콘텍스트 관리 기능 [Claude](https://wiki.g15e.com/pages/Claude%20(AI.txt))의 콘텍스트 관리 기능 ## 2025-10-28 Claude context editing에 소리소문 없이(?) 기능이 추가되었다. 원래는 tool result를 place holder로 바꾸는 기능만 있었는데 이제 thinking block을 자동으로 지워주는 기능(예: 마지막 assistant turn의 thinking 블록만 유지하고 몽땅 지우기)이 추가됐다고(`clear_thinking_20251015`). ## 2025-09-26 <2025년 9월 26일>에 제공자의 서버측에서 작동하는 "context editing" 기능과 호출하는 쪽에서 쓸 수 있는 "memory tool"이 공개됐다. 둘 다 sonnet 4.5 뿐 아니라 기존 모델들(sonnet 4, opus 4, opus 4.1)에도 적용이 된다는 점이 눈에 띈다. - https://www.anthropic.com/news/context-management `memory_tool`은 일반적인 tool use랑 동일하게 [LLM](https://wiki.g15e.com/pages/Large%20language%20model.txt)은 툴 호출 요청만 하고 실제 메모리 파일은 호출하는 측에서 관리하도록 하고 있는 반면, context editing은 제공자 측에서 일어나는 게 재밌다. 보내는 측에서는 컨텍스트를 그대로 전송하면 받는 쪽(Anthropic, AWS Bedrock 등)에서 치환을 하는 방식. 지금은 도구 사용과 관련된 메시지들(도구 호출 요청과 도구 호출 결과)만 치환을 해주는데 앞으로는 다른 기능들을 더 추가하려는 모양. memory나 context editiing이나 에이전트를 개발하는 쪽에서 그동안 각자 알아서 만들던 것들을 제공자가 일부 가져가서 구현해주는 느낌. 한편 context editing은 context의 앞부분에 있는 tool 관련 메시지부터 순차적으로 치환을 하는데, 그렇기 때문에 너무 자주하면 prompt cache를 깨먹는 단점이 있다(나도 컨텍스트 압축 관련 로직을 구현하면서 신경 쓰던 부분). 그래서 한번에 얼마나 많이 압축을 할지를 정하는 파라메터들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식으로 각 제공자의 API 간 차이가 벌어질수록 [OpenRouter](https://wiki.g15e.com/pages/OpenRouter.txt)의 역할이 커질 것 같다. 지금은 "router"가 주 용도이고 호환성 레이어가 부가적인 용도인데 점점 더 호환성 레이어의 역할이 커지겠다. 안그래도 얼마 전에 OpenRouter에서 OpenAI의 Response API를 지원(beta?)하기 시작한다는 글을 봤던 것 같다. OpenRouter는 (잘되면) AI 시대의 가 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