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tersection of Antikythera and Sutton > 리차드 서튼의 Father of RL thinks LLMs are a dead end 대담과 안티키테라의 What Is Intelligence를 자꾸만 연결지어 생각하게 된다. <리차드 서튼>의 [Father of RL thinks LLMs are a dead end](https://wiki.g15e.com/pages/Father%20of%20RL%20thinks%20LLMs%20are%20a%20dead%20end.txt) 대담과 안티키테라의 [What Is Intelligence](https://wiki.g15e.com/pages/What%20Is%20Intelligence.txt)를 자꾸만 연결지어 생각하게 된다. 지금까지 공부했던 여러 분야가 엮여 들어가는 느낌이다. 까먹지 않기 위해 두서 없이 열거. - [What Is Intelligence](https://wiki.g15e.com/pages/What%20Is%20Intelligence.txt)의 실험을 스케일만 키워서 오래 두면 필연적으로 효율적인 RL 알고리즘과 RL 에이전트들이 나타날까? 혹시 그게 나타나지 않는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RL이 그다지 좋은 방법이 아니라는 간접적인 증거일 수도 있을테고. - <데이비드 실버>( 초기 멤버이자 [경험의 시대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https://wiki.g15e.com/pages/Welcome%20to%20the%20Era%20of%20Experience.txt)의 제1저자)가 [Is human data enough?](https://wiki.g15e.com/pages/Is%20human%20data%20enough.txt)에서 인간의 개입(인간으로부터 얻은 데이터, RLHF 같은 인간의 판단 등)을 줄일수록 AI의 성능이 좋아진다는 얘기를 하면서 메타 RL(RL 알고리즘 자체를 RL로 만들기)로 얻어진 알고리즘이 인간이 설계한 알고리즘보다 뛰어나더라는 얘기를 한 것도 떠오른다. - 한편, RL 알고리즘이 지역 최적점에 빠지지 않도록 만들 수 있는 좋은 수단 중 하나는 환경적 격리일텐데, 각 컴퓨터를 격리된 환경으로 취급한다면 격리도 자연스럽게 달성하면서 분산 컴퓨팅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스케일 키우기는 아주 쉽겠다. 게다가 서튼의 [큰 세상 가설](https://wiki.g15e.com/pages/The%20big%20world%20hypothesis.txt)에 의하면 개별 에이전트가 너무 비대해질 필요도 없으니(오히려 제약을 가하는 게 유익할 수 있음) 분산 컴퓨팅에 아주 유리하겠다. - [What Is Intelligence](https://wiki.g15e.com/pages/What%20Is%20Intelligence.txt)의 주장에 의하면, "환경"에 다른 에이전트들이 존재하고 이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만드는 게 핵심적 역할을 한다. 환경을 예측하고자 하는 다른 에이전트가 있어야 고차원적 무기 경쟁(상대의 행동을 예측하려는 나의 행동을 예측하려는 상대)이 촉발되기 때문. - 지역 최적점 이야기와 다른 에이전트와의 상호작용 이야기를 합치면, 이번에는 <제프리 밀러>가 연상된다. [The mating mind](https://wiki.g15e.com/pages/The%20mating%20mind.txt)에서 [고삐 풀린 뇌](https://wiki.g15e.com/pages/Runaway%20brain.txt) 가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내용이 나오는데, (고삐 풀린 뇌 가설 자체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으나) 성선택에 의한 질주 과정이 극단적 효율만 추구하는 생존선택과는 다른 종류의 적응 형질을 만들어내고 이로 인해 지역 최적점을 극복할 수 있는 일종의 '선행 투자'를 할 수 있게 된다는 주장을 한다. - 환경에 다른 에이전트들이 존재해야한다는 [What Is Intelligence](https://wiki.g15e.com/pages/What%20Is%20Intelligence.txt)의 주장으로부터 <제임스 J. 깁슨>의 [생태주의 심리학](https://wiki.g15e.com/pages/Ecological%20psychology.txt)도 떠오른다. 애초에 깁슨이 생각한 [어포던스](https://wiki.g15e.com/pages/Affordance.txt) 개념에서 유기체에게 가장 중요한 "환경"은 다른 유기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