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ternational trade > ## 일반적인 수출입 절차[^1] ## 일반적인 수출입 절차[^1] 수출업자 - 제품이 만들어지면 보통 포장하여 [팔레트](https://wiki.g15e.com/pages/Palette%20(logistics.txt))에 올려 운송 대기한다. - 이때쯤 수출 [통관](https://wiki.g15e.com/pages/Customs%20clearance.txt)을 위해 세관에 수출신고를 하는 것이 좋다. 내륙운송 - 트럭에 실어 <공항> 또는 <항구>로 배송한다. 한 회사의 화물만 싣고 가거나 여러 회사의 화물을 같이 싣고 가기도 한다. - 화물트럭 중 화물칸 문이 옆으로 열리는 차량을 '윙카'라고 부른다. - 화물이 많을 경우 [컨테이너](https://wiki.g15e.com/pages/Shipping%20container.txt)에 화물을 실어서 컨테이너 운반용 차량(트레일러 또는 '추레라'라고 부른다)으로 운반한다. - [컨테이너](https://wiki.g15e.com/pages/Shipping%20container.txt) 문을 닫으면 '씰'을 설치한다. 화물을 꺼내기 위해서는 씰을 절단해야만 한다. 즉 씰은 화물 주인 외의 사람이 컨테이너를 여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다. 각 씰에는 고유번호가 있어서 누군가 씰을 훼손하고 다른 씰로 바꿀 수 없다. 수출지 <공항> 혹은 <항구> 도착 - 공항이나 항구에 도착한 화물은 [보세구역](https://wiki.g15e.com/pages/Bonded%20area.txt)에 대기했다가 [배](https://wiki.g15e.com/pages/%EC%84%A0%EB%B0%95.txt)나 비행기에 실린다. 수출 [통관](https://wiki.g15e.com/pages/Customs%20clearance.txt) - 모든 수출제품은 제품이 무엇인지, 어디로 수출하는지를 [세관](https://wiki.g15e.com/pages/Customs.txt)에 신고해야 한다. - 보통 수출제품은 세관의 서류확인으로 수출검사가 완료되며, 수출신고 및 검사가 완료되면 수출신고가 완료되었다(마칠 필)는 증명서(증거 증)인 수출신고필증이 발행된다. - 수출화물이 [보세구역](https://wiki.g15e.com/pages/Bonded%20area.txt)에 들어가기 전에 수출신고를 마치도록 한다. 비행기 또는 [선박](https://wiki.g15e.com/pages/%EC%84%A0%EB%B0%95.txt)에 화물 적재 - [보세구역](https://wiki.g15e.com/pages/Bonded%20area.txt)에 대기하고 있던 화물은 일정 시간이 되면 [배](https://wiki.g15e.com/pages/%EC%84%A0%EB%B0%95.txt)나 비행기에 실린다. - 수출화물이 미리 보세구역에 도착해 있어야 정해진 시간에 실릴 수 있다. 미리 도착해 있어야 하는 시간을 [카고 클로징](https://wiki.g15e.com/pages/Cargo%20closing.txt)이라고 부른다. 비행기 또는 선박 출발 - 화물의 적재가 완료되면 배나 비행기는 수입지 <항구> 또는 <공항>으로 출발한다. - 컨테이너를 싣는 배를 보통 <컨테이너 선>이라고 부른다. 수입지 <공항> 혹은 <항구> 도착 - [배](https://wiki.g15e.com/pages/%EC%84%A0%EB%B0%95.txt)나 비행기로 <항구> 또는 <공항>에 도착한 화물은 [보세구역](https://wiki.g15e.com/pages/Bonded%20area.txt)의 에 모아둔다. - 여러 회사의 화물이 하나의 컨테이너에 실리는 경우 일단 에 모였다가 회사별로 화물을 분류하기 위해 다른 장소로 옮기는데 이 장소를 [CFS](https://wiki.g15e.com/pages/Container%20Freight%20Station.txt)(Container Freight Station; 컨테이너 화물 집하장)라고 부른다. 수입 [통관](https://wiki.g15e.com/pages/Customs%20clearance.txt) - [세관](https://wiki.g15e.com/pages/Customs.txt)에 수입하는 제품에 대한 신고를 하며, 이때 관련 서류를 세관에 제출한다. 신고는 수입자가 직접 하거나 [관세사](https://wiki.g15e.com/pages/Customs%20agent.txt)라는 수출입신고 전문대행사를 통해서 한다. - 세관 제출서류로는 [인보이스](https://wiki.g15e.com/pages/Commercial%20invoice.txt), [패킹](https://wiki.g15e.com/pages/Packing%20list.txt), [B/L](https://wiki.g15e.com/pages/Bill%20of%20Lading.txt) 또는 [에어웨이빌](https://wiki.g15e.com/pages/Air%20waybill.txt) 등이 있고, 제품에 따라 추가 서류가 필요하다. 세관은 제출된 서류로 제품에 대한 검사를 하거나, 실제 제품의 포장을 뜯어서 확인하기도 한다. - 제품에 문제가 없으면 세관은 수입신고가 완료되었음을 증명하는 서류를 발급하는데, 이것을 수입신고필증이라 한다. 내륙운송 - [통관](https://wiki.g15e.com/pages/Customs%20clearance.txt)이 완료된 제품은 수입업자에게 운송해야 하는데, 적절한 운송회사가 없을 경우 선박운송회사나 [관세사](https://wiki.g15e.com/pages/Customs%20agent.txt)에게 소개를 부탁한다. - 운송료는 화물 크기 및 거리에 따라 다르다. 수입업자가 화물 인수 - 수입업자는 화물을 인수하여 창고에 넣는다. - 보통 지게차로 [팔레트](https://wiki.g15e.com/pages/Palette%20(logistics.txt)) 들어올려 화물을 꺼낸다. ## 관련 기관 무역을 지원하는 다양한 기관과 협회: - 코트라 - 무역협회 - 각종 지자체 - 특허청 위 조직의 홈페이지를 잘 검색하면 해외전시회 출품비 지원, 무료 통역 지원, 시장 정보 등을 얻을 수 있어서 유용하다. ## 항공 운송과 해상 운송 [해상 운송](https://wiki.g15e.com/pages/Ocean%20freight.txt)은 한번에 많은 화물을 운송할 수 있고 운송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하지만 상대적으로 시간이 많이 걸린다. 반대로 [항공 운송](https://wiki.g15e.com/pages/Air%20freight.txt)은 한번에 운송할 수 있는 화물의 양이 적고 운송료가 비싸지만 상대적으로 빠르다. 유럽과 같이 국경이 연결된 경우 기차나 트럭 등으로도 국제무역이 가능하지만 우리는 [선박](https://wiki.g15e.com/pages/%EC%84%A0%EB%B0%95.txt)과 비행기가 유일한 수단이다. ## 대금 결제 - **[T/T](https://wiki.g15e.com/pages/Telegraphic%20transfer.txt) (Telegraphic Transfer)**: <은행>을 통해 돈을 보내는 방식. - **[L/C](https://wiki.g15e.com/pages/Letter%20of%20credit.txt) (Letter of Credit)**: 은행이 대금 결제를 보증하는 방식의 신용 거래 (<신용카드>와 유사) - **[D/P](https://wiki.g15e.com/pages/Document%20against%20payment.txt) (Document against Payment)**: 은행이 아닌 거래 당사자 간 합의를 통한 신용 거래. 구매자가 대금 결제를 하면 물건을 받기 위해 필요한 서류([인보이스](https://wiki.g15e.com/pages/Commercial%20invoice.txt), [패킹](https://wiki.g15e.com/pages/Packing%20list.txt), [B/L](https://wiki.g15e.com/pages/Bill%20of%20Lading.txt))를 넘겨주는 방식. - **[D/A](https://wiki.g15e.com/pages/Document%20against%20acceptance.txt) (Document against Acceptance)**: 은행이 아닌 거래 당사자 간 합의를 통한 신용 거래. 구매자가 물건을 받기 위해 필요한 서류([인보이스](https://wiki.g15e.com/pages/Commercial%20invoice.txt), [패킹](https://wiki.g15e.com/pages/Packing%20list.txt), [B/L](https://wiki.g15e.com/pages/Bill%20of%20Lading.txt))를 먼저 인수한 뒤 30일 또는 60일 또는 90일 뒤에 대금 결제를 하는 방식. ## See also - **[인코텀즈](https://wiki.g15e.com/pages/Incoterms.txt)**: 국제 상거래에서 일어날 수 있는 비용 및 책임 관련 조건들을 <국제상업회의소>에서 정리한 것 - **[HS코드](https://wiki.g15e.com/pages/HS%20code.txt)**: 수출입되는 모든 제품에 부여하는 코드 ## Footnotes [^1]: [무역 공부는 난생 처음입니다만](https://wiki.g15e.com/pages/%EB%AC%B4%EC%97%AD%20%EA%B3%B5%EB%B6%80%EB%8A%94%20%EB%82%9C%EC%83%9D%20%EC%B2%98%EC%9D%8C%EC%9E%85%EB%8B%88%EB%8B%A4%EB%A7%8C.txt) 1장에서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