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fluence: Science and practice > 권위의 법칙 (Principle of authority): 권위의 법칙 (): > 사람들은 어떤 권한이 있는 사람들로부터 요청을 받았을 때 들어주는 경향이 있다. <해킹, 속임수의 예술>에서도 소개된 바 있듯이, 사람은 요청자가 어떤 권한을 가지고 있거나 그런 요청을 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면 그들의 요청에 순응하곤 한다. 호감의 법칙 (): > 사람들은 요청자가 호감이 가는 사람처럼 보이거나(잘생긴 외모, 좋은 옷, 고급 승용차, 비싼 악세서리 등), 비슷한 관심사와 믿음, 그리고 같은 태도를 취할 경우 그 사람의 요청을 들어 주는 경향이 강하다. 상호성의 법칙 (): > 어떤 귀중한 것을 받거나 나중에 받을 것이라는 약속이 있다면 우리는 자동적으로 어떤 요청에 따르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 선물은 물질적인 것일 수도 있고 충고일 수도 있고 도움일 수도 있다. 누군가가 당신을 위해 어떤 일을 해주면, 당신은 보답을 하고픈 마음이 든다. 이런 강력한 마음은 호의를 베풀어 준 사람으로부터 특별한 요청을 받지 않았어도 일어나게 마련이다. 다른 사람이 무슨 부탁을 들어주기를 바랄 경우 (요청을 들어주기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에 하나는 바로 그 사람에게 선물이나 어떤 도움을 주는 것이다. (see [Altruistic punishment](https://wiki.g15e.com/pages/Altruistic%20punishment.txt), [Reciprocal altruism](https://wiki.g15e.com/pages/Reciprocal%20altruism.txt))) 일관성의 법칙 (): > 사람들은 공약을 하거나 어떤 명분에 따른 것이라면 순응하는 경향이 있다. 일단 무엇을 하겠다고 약속하면, 우리는 신뢰하지 못할 사람이나 바람직하지 못한 사람으로 비춰지기를 원치 않기 때문에 우리가 한 말이나 약속에 따른 일을 하는 경향이 있다. (see , [Self deception](https://wiki.g15e.com/pages/Self%20deception.txt)) 사회적 증거의 법칙 (): > 사람들은 어떤 일을 할 때 그것이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같을 경우 따르는 경향이 있다. 다른 사람의 행동은 문제의 자신의 행동이 옳고 적절한 것이라는 정당성을 부여해준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see ) 희귀성의 법칙 (): > 사람들은 구하는 물품이, 공급이 부족한 것이거나 다른 경쟁자들이 있을 경우, 또는 단기간에만 구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에는 요청에 응하는 경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