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itness indicator > 적응도 지표란? 적응도 지표란? > [유성생식](https://wiki.g15e.com/pages/Sexual%20reproduction.txt)의 목표가 몇몇 자식이라도 해로운 <돌연변이>를 갖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면([Evolution of sexual reproduction](https://wiki.g15e.com/pages/Evolution%20of%20sexual%20reproduction.txt)), 아무하고나 섹스를 하는 것은 멍청한 짓이다. 어떤 섹스 파트너나 자기 몫의 돌연변이를 갖고 있다. 중요한 것은 해로운 돌연변이가 가장 적은 상대를 고르는 것이다. 그래야 자식에게 최고의 적응도, 즉 생존과 번식에서의 최고의 잠재력을 물려줄 수 있다. … <우성유전> 때문에 많은 돌연변이들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이런 돌연변이들은 몸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따라서 짝을 고르는 데 이용될 수 없다. 하지만 불완전우성의 경우가 왕왕 있으며, 때문에 개체들의 유전적 변이 가운데 상당수가 몸과 행동에서 드러난다. 어떤 형질들은 다른 형질들에 비해 더 많은 유전정보를 드러낸다. 수컷공작의 꼬리 같이 개체들 사이에 변이가 심한 복잡한 형질들은 특히 많은 정보를 드러낸다. 어떤 형질이 복잡하다는 것은 그 형질이 발달하는 데 여러 유전자의 효율적인 상호작용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많은 유전정보들이 얽히고 설켜 한 형질에 집약되는 것이다. 이런 복잡한 형질의 변이가 몸이나 행동 같은 식별 가능한 차원에서 나타난다면, 이 유전적 변이는 짝을 고르는 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성선택](https://wiki.g15e.com/pages/Sexual%20selection.txt)이 이런 형질에 주목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 > 이러한 형질들을 [적응도 지표](https://wiki.g15e.com/pages/Fitness%20indicator.txt)라고 한다. 적응도 지표는 개체의 적응도를 선전하라는 특명을 받고 진화한 생물학적 형질이다. 적응도란 성공적으로 생존하고 번식하는 성향을 뜻한다. 적응도는 주로 그 개체가 지닌 유전자의 품질에 의해 결정되며, 유전자의 품질은 돌연변이의 양에 달려 있다. --p160-161, [The mating mind](https://wiki.g15e.com/pages/The%20mating%20mind.txt) 적응도 지표의 [조건의존성](https://wiki.g15e.com/pages/Condition%20dependence.txt): > Fitness indicator|적응도 지표는 [조건 의존적](https://wiki.g15e.com/pages/Condition%20dependence.txt)이다. 다시 말해서 그 동물의 일반적인 건강과 안위(조건)에 대단히 민감하며, 개체들 사이의 조건의 차이를 확연히 드러낸다. 여기서 이 책에 제시된 많은 논거들의 중심을 이루는 관계들의 사슬이 형성된다. <돌연변이>가 적응도에 영향을 주고, 적응도가 조건에 영향을 주고, 조건이 적응도 지표의 상태에 영향을 주고, 적응도 지표가 짝 고르기에 영향을 주고, 짝 고르기가 [진화](https://wiki.g15e.com/pages/Evolution.txt)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p173, [The mating mind](https://wiki.g15e.com/pages/The%20mating%20mind.txt) ## See also - [적응도 지표의 유전성](https://wiki.g15e.com/pages/Heritability%20of%20fitness%20indicator.txt) - [적응도 지표의 신뢰성](https://wiki.g15e.com/pages/Reliability%20of%20fitness%20indicator.t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