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ishery product import > 수산물 수입은 1997년에 전면 개방된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보임. 원인: 수산물 수입은 <1997년>에 전면 개방된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보임. 원인: - 체결에 따른 시장 개방의 확대 - 수입상대국의 적극적인 시장 접근 노력 - 소비자의 수입수산물에 대한 소비 경험 축적 - 국내 수산물 생산의 정체와 수요 증가에 따른 수급 여건 변화 ## FTA 2004년 [한칠레자유무엽협정](https://wiki.g15e.com/pages/%ED%95%9C%EC%B9%A0%EB%A0%88%EC%9E%90%EC%9C%A0%EB%AC%B4%EC%97%BD%ED%98%91%EC%A0%95.txt)을 시작으로 2022년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https://wiki.g15e.com/pages/Regional%20Comprehensive%20Economic%20Partnership.txt)이 발효되어 총 58개 국가와 18건의 를 이행하고 있다. [포괄적-점진적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https://wiki.g15e.com/pages/Comprehensive%20and%20Progressive%20Agreement%20for%20Trans-Pacific%20Partnership.txt)(CPTPP) 등 메가 FTA가 추진되고 있어 앞으로 수산물 수입이 더욱 확대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