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olutionarily stable strategy](/pages/Evolutionarily%20stable%20strategy.txt) and [Punctuated equilibrium](/pages/Punctuated%20equilibrium.txt) --- [이기적 유전자](/pages/The%20selfish%20gene.txt)에서 [도킨스](/pages/Richard%20Dawkins.txt)는 진화란 점진적인 변화 과정이라기 보다는 하나의 [ESS](/pages/Evolutionarily%20stable%20strategy.txt)에서 또다른 ESS로의 도약인 경우가 많다고 언급했었는데 이 말이 어느 정도의 시간 스케일을 염두한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단속평형](/pages/Punctuated%20equilibrium.txt)과 비슷한 면이 있어 보인다. 물론 도킨스는 <눈 먼 시계공> 9장 "구멍난 단속평형설"에서 단속평형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언급하는데 사실 이것은 이론 자체에 대한 비판이라기보다는 그 이론을 주장하는 방식에 대한 비판이다. 즉, 단속평형 자체가 [다윈주의](/pages/Darwinism.txt)와 어긋나는 바가 없는데 마치 다윈주의를 뒤엎는 혁명인 것 처럼 주장한다는 것. > 단속평형은 다윈주의에 대한 대단치 않은 주석이고, 다윈 자신도 만약 그가 살던 시대에 이 문제가 논의 되었다면 그 이론에 찬성했을지도 모른다. 그 이론은 별볼일없는 주석에 불과하기 때문에 특별히 화려한 인기를 얻을 만한 것도 되지 못한다. 그런데 실제로 그 이론이 인기를 얻은 이유, 그리고 내가 이 책에서 그 이론에 장 하나를 모두 할애하지 않으면 안 될 것처럼 느꼈던 이유는, 이 이론이 마치 다윈과 그 계승자의 견해와 근본적으로 대립하는 개념인 것처럼 다루어졌기 때문이다(특히 일부 저널리스트들을 통해 한껏 과장되었다). … > > 그것은 마치 지구가 완전한 구형이 아니고 약간 평평한 구형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는 소식을 다음과 같은 1면 톱기사로 떠들어대는 것과 마찬가지였다. > > "코페르니쿠스가 틀렸다. 지구 평면설 입증되다!" --p408-410 이러한 과장은 비전문가에 의해 예를 들면 이런 식으로 인용된다: > For over a century after [Charles Darwin](/pages/Charles%20Darwin.txt) introduced it, the standard model of evolution was that species changed gradually, somewhat steadily, over time. Suddenly, in the [1970s](/pages/1970s.txt), this model was displaced by the punctuated equilibrium mode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