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dition dependence > 어떤 형질이 그 동물의 건강과 에너지 수준에 민감한 정도. 가령 지치고 병든 동물은 열정적으로 춤을 출 수 없다는 점에서 춤 능력은 조건 의존적이다. 아모츠 자하비의 핸디캡 원리는 조건 의존성을 다른 관점에서 설명한 것이다. 어떤 형질이 그 동물의 건강과 에너지 수준에 민감한 정도. 가령 지치고 병든 동물은 열정적으로 춤을 출 수 없다는 점에서 춤 능력은 조건 의존적이다. <아모츠 자하비>의 [핸디캡 원리](https://wiki.g15e.com/pages/Handicap%20principle.txt)는 조건 의존성을 다른 관점에서 설명한 것이다. > 조건의존성은 오늘날의 [성선택](https://wiki.g15e.com/pages/Sexual%20selection.txt)론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가운데 하나다. 조건의존성은 적응도가 낮은 동물이 감당할 수도 없는 성적 장식과 구애에 지나친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도록 막아준다. … > > 조건의존성은 적응도 수준이 높은 개체에게도 유용하다. 자신의 적응도에 맞추어 [적응도 지표](https://wiki.g15e.com/pages/Fitness%20indicator.txt)에 지출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적응도가 뛰어난 개체들 사이에서도 누가 더 낫고 못한지를 구별해 주기도 한다. 이렇게 개체들 사이의 뚜렷한 적응도 차이가 쫙 펼쳐지면 적응도에 대한 판단이 더욱 용이해진다. 조건의존성은 구애 행위의 과시에 들어간 가시적인 비용으로부터 적응도를 직접 유추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짝 고르기를 한층 수월하게 만든다. --p198 한편, [적응도 지표](https://wiki.g15e.com/pages/Fitness%20indicator.txt)는 적응도에 의존적이라 하여 <적응도 의존성>라고 부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