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putation > ## History ## History '계산'에 대한 형식적 정의가 만들어지기 전에 <논리학> 및 [수학](https://wiki.g15e.com/pages/Mathematics.txt)에서 쓰이던 표현은 '<효과적 방법>', '효과적 절차effective procedure' 등이었다. 당시에 "컴퓨터"는 계산을 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을 뜻했고, 효과적 절차란 '직관적으로 생각하기에 기계적인 계산 절차'에 따라 팬과 종이를 써서 수행하는 계산 행위를 말했다. [1920년대](https://wiki.g15e.com/pages/1920s.txt) 이후 계산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정의하기 위한 여러 시도가 있었고 그 결과 여러 형식적 정의가 만들어졌는데, "[튜링 기계](https://wiki.g15e.com/pages/Turing%20machine.txt) 또는 그와 동등한 기계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면 계산이다"라는 정의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앨런 튜링](https://wiki.g15e.com/pages/Alan%20Turing.txt)의 튜링 기계와 동등한 기계(또는 계산 체계)에서는 [알론조 처치](https://wiki.g15e.com/pages/Alonzo%20Church.txt)의 [람다식](https://wiki.g15e.com/pages/Lambda%20calculus.txt)도 포함된다. 알론조 처치는 "효과적 계산가능성effective computability"라는 표현을 썼고, 그의 제자인 앨런 튜링은 "계산computation"이라는 표현을 썼다. > In a recent paper Alonzo Church has introduced an idea of "effective calculability", which is equivalent to my "computability", but is very differently defined … The proof of equivalence between "computability" and "effective calculability" is outlined in an appendix to the present paper[^1] ## Footnote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