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rrier and route optimization > TMS에서 배차 및 경로를 최적화해주는 기능. R&S(routing and scheduling)라고도 부름. [TMS](https://wiki.g15e.com/pages/Transportation%20management%20system.txt)에서 배차 및 경로를 최적화해주는 기능. R&S(routing and scheduling)라고도 부름. ## 자동 균등 배차 (automated workload distribution)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여 각 운전자에게 작업을 균등하게 배차하는 기능. - 운전자의 업무량, 업무 시간(시작 시간, 종료 시간 등에 기반하여 초과근무를 하지 않도록), 수당, 권역 등을 고려하여 경로 최적화 및 업무 분배 - 업무 시간, 주문 개수 등 무엇을 기준으로 '균등하게' 분배할지 설정 - 근무 중 휴게 시간 설정 - 차량의 특성(예: 지하주차장 진입 가능, 냉장차량 등)과 주문의 특성을 매칭 - 운행 중 발생하는 신규 접수, 취소, 사고 발생 등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작업 재분배 및 경로 재설정 - 불필요하게 많은 차량을 배차하거나 너무 적은 차량을 배차하는 등의 문제를 완화 - 도착 예정 시간 추정 - 관제 센터용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 및 운전자용 앱 - 온도 관제와 연계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배송 경로를 조정하기도 한다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변화시킨다는 내용은 없음.[^1] ## 관련 기술 - Map matching: 잡음이 섞인 데이터를 지도 상의 도로망에 일치시키는 알고리즘 - Fast map matching[^2][^3] - GraphHopper[^4] - [Vehicle routing problem](https://wiki.g15e.com/pages/Vehicle%20routing%20problem.txt): 여러 차량의 이동 경로를 최적화하는 문제 - Isoline algorithm: 등시선 알고리즘 - https://project-osrm.org/: 기반 라우팅 엔진 ## Footnotes [^1]: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roouty&logNo=223382241361 [^2]: https://github.com/cyang-kth/fmm [^3]: https://fmm-wiki.github.io/ [^4]: https://github.com/graphhopper/graphhop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