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quatic ecosystem > 바다나 강 등 물을 중심으로 하는 생태계. (육지 생태계외 대비) 바다나 강 등 물을 중심으로 하는 생태계. (육지 생태계외 대비) ## [수산업](https://wiki.g15e.com/pages/Fishing%20industry.txt) 관점에서의 분류 ### 부유 생물 - 극미세 부유 생물 - 5$\micro m$ 이하 - 일반적인 채집망에 의한 채집은 불가능 - 거름종이 이용법, 가라앉힘법, 원심분리법 등을 이용하여 채집 - 미세 부유 생물 - 0.005-0.5mm 정도의 크기 - 대부분의 식물 부유 생물 - 미소 부유 생물 - 0.5-1mm 정도의 크기 - 대부분의 동물 부유 생물. - 해양 <무척추동물> 및 어류들의 알, 치어, 유생 - 대형 부유 생물 - 1-10mm 정도의 크기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음 - 대부분의 동물 부유 생물과 소수의 대형 식물 부유 생물 ### 저서 생물 - 저서 식물(해조류) - 엽록소로 <광합성>을 하는 해양 환경의 1차 생산자. 몸의 표면을 통해 바닷물 속의 영양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육지 식물과 달리 특정한 몸의 체제가 필요 없도록 [진화](https://wiki.g15e.com/pages/Evolution.txt)되었다. - 녹조류: 주료 민물에서 서식. <청각>, <파래>, <우산말>, <유글레나>, <매생이> - 갈조류: 대부분 바다에서 서식하며 몸체가 큼. <미역>, <다시마>, <모자반>, <감태>, <톳>, <곰피>, <뜸부기> - 홍조류: 해조류의 대부분을 차지. <김>, <우믓가사리>, <진두발>, <풀가사리>, <꼬시래기> - 저서 동물 - 해면동물: 조간대 바위 표면에 껍질 모양으로 붙어 있으며, 표면에 무수히 많은 작은 구멍이 있음 - 따개비류: 바다에서 공생 혹은 기생하며 여섯 쌍의 섭식용 부속지를 가지고 어릴 때는 자유 유영을 하지만 곧 기질에 부착하여 석회질 껍데기를 형성하며 그 속에서 서식 - 고둥류: 깊은 곳에서 상부 조간대까지 널리 분포. 잘 발달한 머리와 기어 다니기에 알맞은 넓고 편평한 발로 되어 이으며, 껍데기는 한 장인데 보통 나사모양으로 꼬여 있으나 삿갓모양인 것도 있음. <소라>, <전복>, <고둥> 등. - 조개류: 바위 조간대 아래에 서식하며 2장의 조가비를 가지고 있음. <담치류>, <바지락>, <고막>, <조개>, <굴> ### 유영 생물 - 물고기류 - 바다 척추동물 중 종류와 개체수가 가장 많음. 아가미, 지느러미, 뼈, 비늘이 있음. 피부에 점액질이 있어 질병으로부터 몸을 보호. - 경골어류: 뼈가 단단하고 주로 부레와 비늘이 있음. <고등어>, <꽁치>, <전갱이>, <전어>, <돔>, <복어>, <뱀장어> 등. - 연골어류: 뼈가 물렁물렁하고 주로 부레와 비늘이 없음. <홍어>, <가오리>, <상어> 등. - 두족류 - 몸속의 뼈가 거의 퇴화하고 없음. 상처 부위의 혈액을 응고시키는 혈소판이 없음. - 팔완류: <문어>, <낙지>, <쭈꾸미> - 십완류: <오징어>, <꼴뚜기> - <포유류> - 주로 태생이며 허파로 호흡을 함. - 고래류 - 물개류 - 갑각류 - 수산 생물 중 가장 많은 종이 알려져 있음 - 일반적으로 노플리우스, 조에아 유생기를 거침 - <새우>, <게>, <가재> 등 ## 수온 범위에 따른 분류 - 한류성: <대구>, <명태>, <북양넙치>, <왕게>, <청어>, <연어>, <임연수어> - 중간성: <곤쟁이일종>, <정어리>, <오징어>, <고등어>, <방어>, <참돔>, <꽁치> - 난류성: <참다랑어>, <날개다랑어>, <황새치>, <눈다랑어>, <청새치>, <가다랑어>, <황다랑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