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gent-Computer-Human Interaction > Agent-Computer-Human Interaction = Agent-computer interaction + Human-computer interaction Agent-Computer-Human Interaction = [Agent-computer interaction](https://wiki.g15e.com/pages/Agent-computer%20interaction.txt) + [MCP](https://wiki.g15e.com/pages/Model%20context%20protocol.txt) 등 [Agent-computer interaction](https://wiki.g15e.com/pages/Agent-computer%20interaction.txt)을 위한 기반이 보편화되고 [LLM](https://wiki.g15e.com/pages/Large%20language%20model.txt) 같은 기반 기술이 보급된 상황을 가정했을 때 기존의 패러다임이 어떻게 바뀌면 좋을지에 대한 생각 조각들. [ChatGPT](https://wiki.g15e.com/pages/ChatGPT.txt) 이후 꾸준히 유행하고 있는 [Conversational user interface](https://wiki.g15e.com/pages/Conversational%20user%20interface.txt)는 그다지 좋은 UI가 아니다. ## 전제 [MCP](https://wiki.g15e.com/pages/Model%20context%20protocol.txt) 등 [Agent-computer interaction](https://wiki.g15e.com/pages/Agent-computer%20interaction.txt)이 보편화된다. 보편화란? - 원격 MCP 서버들이 충분히 다양해지거나 [Playwright MCP](https://wiki.g15e.com/pages/Playwright%20MCP.txt)나 [OmniParser](https://wiki.g15e.com/pages/OmniParser.txt)처럼(써놓고 보니 둘 다 [Microsoft](https://wiki.g15e.com/pages/Microsoft.txt)에서 공개한 기술이다) 기존 시스템을 [AI agent](https://wiki.g15e.com/pages/AI%20agent.txt)들이 더 잘 이용할 수 있게 되고, -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자로 구성된 잘 관리되는 디렉토리(MCP registry? MCP discovery service?)가 있고, - 보안, 인증, 과금 등 실제로 MCP 등을 진지하게 쓰려면 필요한 제반 사항들이 갖춰진 상황 [LLM](https://wiki.g15e.com/pages/Large%20language%20model.txt) 같은 기반 기술의 널리 보급된다. 너른 보급이란? - 충분히 쓸만한 [LLM](https://wiki.g15e.com/pages/Large%20language%20model.txt)의 사용 비용이 0원에 가까워진다. (또 뭐가 있을까? ) ## 기존 패러다임의 재검토 의 연구를 다시 살펴보기. 특히 당시에 했던 가정 중에 지금 여전히 성립하는 것과 이제는 성립하지 않는 것 또는 달리 생각해볼 여지가 있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여기에서부터 생각을 전개하기. 달리 생각해볼 여지가 있는 주제의 후보들: - **인간**: 인간 자체는 생물학적으로 전혀 변하지 않았으나 1) 당시는 <인지심리학>의 태동기였기 때문에 당시에 고려했던 심리학적 원칙들은 [체화된 인지](https://wiki.g15e.com/pages/Embodied%20cognition.txt), [성격심리학](https://wiki.g15e.com/pages/Personality%20psychology.txt), <정서심리학> 등의 발전에 비추어 다시 고려해볼 여지가 크고, 2) 인간의 생물학적 특성이 변하지 않았더라도 인간이 놓인 사회적 맥락이 크게 바뀐 점(<인터넷>과 <소셜 미디어>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컴퓨터**: 컴퓨터의 성능(계산 속도, 네트워크 전송 속도, 저장 공간의 용량 등 모두)이 크게 향상된 점, [XR](https://wiki.g15e.com/pages/Extended%20reality.txt) 디바이스가 보급된 점, [LLM](https://wiki.g15e.com/pages/Large%20language%20model.txt) 같은 [신경망](https://wiki.g15e.com/pages/Artificial%20neural%20network.txt) 기반 [생성 AI](https://wiki.g15e.com/pages/Generative%20AI.txt)의 발전한 점, <사물 인터넷>이 보급된 점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참고: - [성급한 UI 디자인 종말론](https://wiki.g15e.com/pages/Premature%20death%20of%20UI%20design.txt) ## 새로운 패러다임의 조각들 () ## See also - [LLM OS](https://wiki.g15e.com/pages/LLM%20OS.txt) - [디자인의 정의](https://wiki.g15e.com/pages/Definition%20of%20design.txt) - [자연어로 작성된 명세서](https://wiki.g15e.com/pages/Specification%20written%20in%20natural%20language.t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