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cceptable macronutrient distribution range > (In Nutrition) 에너지적정비율(acceptable macronutrient distribution range, AMDR)이란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의 섭취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In [Nutrition](https://wiki.g15e.com/pages/Nutrition.txt)) 에너지적정비율(acceptable macronutrient distribution range, AMDR)이란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https://wiki.g15e.com/pages/Protein.txt)의 섭취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 개요 에너지를 공급하는 영양소에 대한 에너지 섭취비율이 건강과 관련성이 있다는 과학적 근거가 있기 때문에,[^1][^2]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의 에너지적정비율을 설정하였다. 에너지적정비율은 각 영양소를 통해 섭취하는 에너지의 양이 전체 에너지 섭취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의 적정범위로 제시하였다. 각 다량영양소의 에너지적정범위는 <무기질>과 <비타민> 등의 다른 영양소를 충분히 공급하면서 <만성 질환> 및 영양 불균형에 대한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에너지 섭취비율을 근거로 설정했다. 따라서 각 다량 영양소의 에너지 섭취 비율이 제시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건강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3] ## 근거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https://wiki.g15e.com/pages/2020%20%ED%95%9C%EA%B5%AD%EC%9D%B8%20%EC%98%81%EC%96%91%EC%86%8C%20%EC%84%AD%EC%B7%A8%EA%B8%B0%EC%A4%80.txt)에서 제시한 근거들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번째 근거[^1]는 저탄수화물 식단 및 저지방 식단이 대사 위험 요인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6개월 이상)에 대한 메타 분석이다. 이 연구에서 "저탄수화물"과 "저지방은 각각 전체 에너지 섭취량 중 45% 이하와 30% 이하를 기준으로 한다. 연구에 따르면 저탄수화물 식단 및 저지방 식단 모두 체중 감소 및 대사 위험 요인 개선에 효과가 있었다. 두번째 근거[^2]는 저탄수화물-고지방 식단을 단 3일만 지속하더라도 <식후고혈당증>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 <저탄고지>란 전체 에너지 섭취량 중 지방이 69%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참고로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제시하는 <탄수화물> 적정 비율은 55-65% 사이, [지방](https://wiki.g15e.com/pages/Fat.txt) 적정 비율은 15-30% 사이이다. 즉, 탄수화물 및 지방 비율이 지나치게 높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체중 감소 및 대사 위험 요인 개선에 효과가 있고, 지방 비율이 에너지적정비율의 2배 이상으로 높으면 단기적으로도 식후고혈당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 Footnotes [^1]: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https://wiki.g15e.com/pages/2020%20%ED%95%9C%EA%B5%AD%EC%9D%B8%20%EC%98%81%EC%96%91%EC%86%8C%20%EC%84%AD%EC%B7%A8%EA%B8%B0%EC%A4%80.txt) 근거 1: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530364/ [^2]: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https://wiki.g15e.com/pages/2020%20%ED%95%9C%EA%B5%AD%EC%9D%B8%20%EC%98%81%EC%96%91%EC%86%8C%20%EC%84%AD%EC%B7%A8%EA%B8%B0%EC%A4%80.txt) 근거 2: https://pubmed.ncbi.nlm.nih.gov/22669333/ [^3]: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https://wiki.g15e.com/pages/2020%20%ED%95%9C%EA%B5%AD%EC%9D%B8%20%EC%98%81%EC%96%91%EC%86%8C%20%EC%84%AD%EC%B7%A8%EA%B8%B0%EC%A4%80.t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