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as coding practice tool > AI-aided programming 환경에서 AI 짝 프로그래밍을 의도적 수련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기. [AI-aided programming](https://wiki.g15e.com/pages/AI-aided%20programming.txt) 환경에서 AI [짝 프로그래밍](https://wiki.g15e.com/pages/Pair%20programming.txt)을 [의도적 수련](https://wiki.g15e.com/pages/Deliberate%20practice.txt)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기. ## 의사소통 수단의 제약에 따른 습관 변화 인간 짝 프로그래머와 달리 AI와는 아직 코드 이외의 수단으로 나랑 의사 소통을 원활히 할 수 없기 때문에, AI와 짝 코딩을 하는 상황에서는 코드에 내 의사를 최대한 담아내는 게 한층 더 중요해진다. [깃헙 코파일럿](https://wiki.g15e.com/pages/GitHub%20Copilot.txt)과 [커서](https://wiki.g15e.com/pages/Cursor%20(software.txt))를 꾸준히 쓰다보니 코딩 습관이 바뀌었다. 이 중 상당수는 [AI 지원 프로그래밍을 위한 새 실천법](https://wiki.g15e.com/pages/New%20practices%20for%20AI-aided%20programming.txt)과 관련이 있다. 만들어진 코드만 보면 별 차이가 없지만 코딩을 하는 과정에는 눈에 띄는 차이가 있다. (참고: [과정에 담긴 가치](https://wiki.g15e.com/pages/Values%20in%20the%20process.txt)) ## 의도적 수련 AI가 당장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도 중요하지만, 어쩌면 장기적으로 프로그래머의 습관이나 역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가 더 중요할 수 있겠다. AI는 인간 파트너에 비해 <피드백 고리>가 촘촘하고 빠르다는 점, 내가 코딩할 때 언제나 옆에 있다는 점, 지치지 않고 언제나 집중한다는 점 등 여러 측면에서 코딩 훈련에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어떻게 하면 AI를 이런 방향으로 더 잘 활용할 수 있을지 좀 더 고민을 해보면 좋겠다. ## See also - [생성형 AI와 프로그래머의 역량](https://wiki.g15e.com/pages/Generative%20AI%20and%20competency%20of%20programmers.txt) - [AI 지원 프로그래밍을 위한 새 실천법](https://wiki.g15e.com/pages/New%20practices%20for%20AI-aided%20programming.txt) - [AI 시대의 프로그래밍 교육](https://wiki.g15e.com/pages/Programming%20education%20in%20the%20AI%20era.t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