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장 > 수산업법에 따른 어업면허 또는 양식산업발전법에 따른 양식업면허를 받아 어업을 하는 일정한 수면[^1][^2] [수산업법](https://wiki.g15e.com/pages/%EC%88%98%EC%82%B0%EC%97%85%EB%B2%95.txt)에 따른 어업면허 또는 [양식산업발전법](https://wiki.g15e.com/pages/%EC%96%91%EC%8B%9D%EC%82%B0%EC%97%85%EB%B0%9C%EC%A0%84%EB%B2%95.txt)에 따른 양식업면허를 받아 [어업](https://wiki.g15e.com/pages/%EC%96%B4%EC%97%85.txt)을 하는 일정한 수면[^1][^2] ## 주요 세계 어장 북동 대서양 어장 (북해 어장)[^3] - 북해의 [대륙붕](https://wiki.g15e.com/pages/Continental%20shelf.txt)을 중심으로 한 <대서양> 북동부 해역으로, 조경수역이 발달하여 어족 자원이 풍부하다. - 일찍부터 연안국에 의해 고도로 개발되었다. - 수산물 소비지인 <유럽> 여러 나라가 위치해 있기 때문에 어장으로서 매우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다. - 주요 어획물은 <대구>, <청어>, <전갱이>, <볼락류> 등이다. - 점차 어획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대서양 북서부 어장 (뉴펀들랜드 어장)[^3] - 해안선의 굴곡이 심하고 퇴(bank)와 여울(shoal)이 많으며, 멕시코 만류의 북상 난류와 래브라도 한류가 만나 좋은 어장이 형성된다. - 중요 어획물은 <대구>, <청어>, <가자미>, <고등어>, <적어>, <오징어>, <새우>, <굴>, <가리비> 등. - 트롤 어장으로 적합하기 때문에 많은 원양어업국들이 출어하여 조업하고 있다. - 최근에는 [남획](https://wiki.g15e.com/pages/Overfishing.txt)에 의한 자원 고갈을 막기 위해 수산자원관리가 엄격해지고 있다. 태평양 북부 어장[^3] - 세계 최대의 어장. 다른 어장보다 늦게 개발되었으나, 어획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 북동 태평양 어장은 소비 시장이 멀기 때문에 [수산물가공업](https://wiki.g15e.com/pages/%EC%88%98%EC%82%B0%EB%AC%BC%EA%B0%80%EA%B3%B5%EC%97%85.txt)이 발달하였다. - 북서 태평양 어장은 쿠릴 해류와 쿠로시오 해류가 만나 조경수역이 형성되고 [대륙붕](https://wiki.g15e.com/pages/Continental%20shelf.txt)의 발달에 따라 좋은 어장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어획량이 가장 많다. - 북서 태평양 어장은 특히 <명태>, <대구>, <청어>, <정어리>, <적어>, <전갱이>, <연어>, <참치>, <넙치>, <가마지> 등의 어류와 <새우>, <게> 등의 갑각류 및 <굴>, <대합> 등의 조개류, <해조류>의 생산이 많다. - 최근에는 인접 연안국에서 생물자원을 관리함에 따라 북태평양의 명태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트롤어업은 어선수와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다. 최근에는 입어료를 내고 명태를 어획할 수 있는 쿼터량을 할당 받아 조업하고 있다. (어획 쿼터제) ## Footnotes [^1]: [수산업법](https://wiki.g15e.com/pages/%EC%88%98%EC%82%B0%EC%97%85%EB%B2%95.txt) [^2]: [어장관리법](https://wiki.g15e.com/pages/%EC%96%B4%EC%9E%A5%EA%B4%80%EB%A6%AC%EB%B2%95.txt) [^3]: [2022 수산일반-경영 한권으로 끝내기](https://wiki.g15e.com/pages/2022%20%EC%88%98%EC%82%B0%EC%9D%BC%EB%B0%98-%EA%B2%BD%EC%98%81%20%ED%95%9C%EA%B6%8C%EC%9C%BC%EB%A1%9C%20%EB%81%9D%EB%82%B4%EA%B8%B0.t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