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산물산지위판장 > 수산업협동조합법에 따른 지구별 수산업협동조합, 업종별 수산업협동조합 및 수산물가공 수산업협동조합,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생산자단체와 생산자가 수산물을 도매하기 위하여 제10조에 따라 개설하는 시설. [수산업협동조합법](https://wiki.g15e.com/pages/%EC%88%98%EC%82%B0%EC%97%85%ED%98%91%EB%8F%99%EC%A1%B0%ED%95%A9%EB%B2%95.txt)에 따른 지구별 [수산업협동조합](https://wiki.g15e.com/pages/%EC%88%98%EC%82%B0%EC%97%85%ED%98%91%EB%8F%99%EC%A1%B0%ED%95%A9.txt), 업종별 수산업협동조합 및 수산물가공 수산업협동조합,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생산자단체와 생산자가 수산물을 도매하기 위하여 제10조에 따라 개설하는 시설. - 주로 [연안](https://wiki.g15e.com/pages/%EC%97%B0%EC%95%88.txt)에서 어획물의 양륙과 1차적인 가격이 형성되면서 수산물이 유통 및 배분되는 시장으로 [수산업협동조합](https://wiki.g15e.com/pages/%EC%88%98%EC%82%B0%EC%97%85%ED%98%91%EB%8F%99%EC%A1%B0%ED%95%A9.txt)에서 개설하고 운영한다. - 생산자, 시장도매업자([수협](https://wiki.g15e.com/pages/%EC%88%98%EC%82%B0%EC%97%85%ED%98%91%EB%8F%99%EC%A1%B0%ED%95%A9.txt)), 중도매인, 매매 참가인들 사이에 거래가 형성된다. - 어업 생산자는 보통 어획물 판매를 [수협](https://wiki.g15e.com/pages/%EC%88%98%EC%82%B0%EC%97%85%ED%98%91%EB%8F%99%EC%A1%B0%ED%95%A9.txt)에 위탁하고, 수협은 어민을 대산하여 중도매인과 경매 및 입찰을 통해 가격을 결정한다. 이때 위탁은 조건을 붙이지 않는 '무조건 위탁 판매' 조건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단, 어민 보호를 위해 최저 가격 제시 판매 방법도 가능하다. - 당일 납입이 기본 원칙이며, 수협은 수수료를 공제 후 생산자(어민)에게 지급한다. - **국내 어업인 보호차원에서 수입수산물을 취급하지 않는다**.[^1] ## Footnotes [^1]: Part 2. 수산물유통론, [2024 수산물품질관리사 1차 한권으로 끝내기](https://wiki.g15e.com/pages/2024%20%EC%88%98%EC%82%B0%EB%AC%BC%ED%92%88%EC%A7%88%EA%B4%80%EB%A6%AC%EC%82%AC%201%EC%B0%A8%20%ED%95%9C%EA%B6%8C%EC%9C%BC%EB%A1%9C%20%EB%81%9D%EB%82%B4%EA%B8%B0.t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