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물을 위한 윤리학 > ## 머리말 ## 머리말 ## 1장. 동물의 도덕적 지위 ## 2장. 종차별주의 반대 논증 ## 3장. 동물의 고통 ## 4장. 종차별주의의 현실 [자연주의적 오류](https://wiki.g15e.com/pages/Naturalistic%20fallacy.txt) 피하기: > 사실에서 규범을 도출하려는 시도는 아주 흔하다. 쾌락 또는 고통을 증진시키는 것에서 도덕적인 옮음과 그름을 찾으려는 [공리주의](https://wiki.g15e.com/pages/Utilitarianism.txt)도 자연주의적 오류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대한 어떤 결론을 내리든 <진화론>이나 <신경과학>을 이용하는 순간 그것은 자연주의 오류를 저지르는 것이다. 최훈의 위 주장은 자연주의 오류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 기반한다. 전제에 사실 명제 섞여 있는 상황에서 가치 명제를 도출하는 건 그 자체로 오류가 아니다. 전제에 "오로지" 사실 명제만 있는 상황에서 가치 명제를 도출하는 게 자연주의적 오류다. 최훈의 주장에 따라 공리주의가 오류이려면 논증이 다음과 같아야 한다. - 전제: 어떤 개체는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피하려는 이익관심을 가진다. - 결론: 그 개체의 이익관심은 동등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위 논증은 전제에 오로지 사실 명제만 있는 상태에서 가치 명제인 결론이 도출되므로 오류이다. 하지만 공리주의의 실제 논증은 다음과 같다. - 전제1: 어떤 개체는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피하려는 이익관심을 가진다. - 전제2: 어떤 개체가 이익관심을 가진다면 이를 동등하게 고려해야 한다. - 결론: 쾌고감수성을 가지는 개체의 이익관심을 동등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위 논증에서 전제1은 사실 명제이지만("-이다") 전제2는 가치 명제이다("-여야 한다"). 결론의 가치 명제가 "오로지 사실명제만으로" 도출되지 않으므로 이는 자연주의적 오류가 아니다. ## 5장. 채식주의, 환경주의, 여성주의 ## 맺음말. 우리가 동물에게 갖는 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