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정당사 > ## 1948년 1대 총선 ## 1948년 1대 총선 <1948>, [제헌의회 선거](https://wiki.g15e.com/pages/%EC%A0%9C%ED%97%8C%EC%9D%98%ED%9A%8C%20%EC%84%A0%EA%B1%B0.txt), 총 200석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55석 - <한국민주당> 29석 - <대동청년단> 12석 - <한국독립당> 1석 - 기타 군소 야당 18석 - 무소속 85석 정당 정치의 모색: > 정당정치가 정착되지 못해 무소속이 강세였고 정당구조도 복잡했다. <이승만>이 총재였던 <대한독립촉성국민회>는 <신탁 통치>에 반대하는 연합체에 가까워 정식 정당이라고 보기 어려웠다. <송진우>, <김성수>(사진 속 인물) 등이 주축이 된 <한국민주당>은 광복 후 지주, 자산가, 지식인 및 일부 <친일파>가 참여해 만든 반공성향의 우익정당이었다. 의석수는 적지만 영향력을 미치는 의원이 많아 원내 최대 세력을 형성했다. 한국민주당과 함께 보수정당의 양대 축이었던 <김구>의 <한국독립당>은 남한만의 단독선거에 반대해 불참했다.[^1] ## 1950년 2대 총선 <1950>, 총 210석 - <대한국민당> 24석 - <민주국민당> 24석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4석 - <대한청년당> 10석 - 기타 군소 야당 12석 - 무소속 126석 <한국민주당>의 변신: > <한국민주당>은 <이승만>의 남한 단독정부 수립과 대통령중심제 도입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정부 수립 이후 ‘실권’을 장악하려 기대했으나 각료 임명에서 철저히 배제되는 등 ‘찬밥’ 신세가 돼 이승만과 갈라선다. 이후 ‘야당’ 성향으로 변신, <대한국민당>의 <신익희>, <대동청년단>의 <지청천> 세력과 결합해 <1949년> <민주국민당>으로 새출발한다. <국민회>, <대한국민당>, <대한청년단> 등 친이승만 성향 우익 정당들은 훗날 <자유당>의 모태가 된다. 민주국민당 사진 속 인물은 당 대표였던 <신익희>.[^1] ## 1954년 3대 총선 <1954>, 총 203석 - <자유당> 114석 - <민주국민당> 15석 - <대한국민당> 3석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3석 - <제헌국회의원동지회> 1석 - 무소속 67석 대한민국 최초의 여당: > 무능과 무책임으로 일관하던 <이승만> 정권은 더 이상 국회 간선으로 재집권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추진한다. 권력재창출을 위해 평소 '정당무용론'을 주장하던 이승만은 <자유당> 창당을 도모한다. 이승만 추종 세력이 자유당으로 통합되자 막강한 위력을 발휘, 총선에서 압도적 층리를 차지한다. 자유당은 발췌 개헌(직선제), <사사오입 개헌>(중임 제한 철폐) 등에 주도적 역할을 한다. 대한민국 최초의 본격 ‘여당’이었던 셈이다. 권력을 먼저 잡고, 뒷받침할 '여당'을 만드는 방식은 이후에도 계속된다.[^1] ## 1958년 4대 총선 <1958>, 총 233석 - <자유당> 126석 - <민주당> 79석 - <통일당> 1석 - 무소속 27석 <민주당> 계 정당의 태동: > <사사오입 개헌>으로 이승만의 종신집권 음모가 현실화되자 반대세력들이 결집해 ‘<호헌동지회>’를 결성했다. 이들을 중심으로 <1955년> <민주당>이 창당된다. 발전적 해체를 선언한 <민주국민당> 세력, <장면>·<정일형> 등 흥사단계, 자유당 탈당 인사, 무소속 등이 참여했다. 그러나 <조봉암> 등 진보 계열 인사들은 배제됐다. 통합의 위력이 발휘돼 의석 수는 크게 늘어 양당제의 토대가 구축됐다. 현재 <더불어민주당>은 이 민주당을 자신들의 모태로 소개하고 있다. 사진 속 인물은 민주당 대선 후보였던 <조병옥>.[^1] ## 1960년 5대 총선 <1960>, 총 291석 (민의원 233석, 참의원 58석) - <민주당> 175(31)석 - <자유당> 2(4)석 - <사회대중당> 4(1)석 - <혁신동지총연맹> 1(0)석 - <한국사회당> 0(1)석 - 기타 군소 야당 3(1)석 혁명의 바람: >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권이 물러나고 <내각책임제>로 <헌법>이 개정됐다. <국회>를 해산하고 새로운 선거법에 의해 실시된 총선에서 <민주당>은 압도적인 승리를 거둔다. 사진 속 인물은 <윤보선> 대통령과 <장면> 총리. 역사상 처음 양원제로 국회가 구성된 선거이기도 했다. <사회대중당> 등 혁신(진보) 계열 세력들은 4.19 혁명을 민주혁명으로까지 끌어올리자며 혁신정당을 창당했지만 소수 의석을 얻는데 그쳤다. 단일 대중정당을 만드는데 실패한 채 분열했고, 지식인 명망가 위주의 활동에 그친 탓이 컸다.[^1] ## 1963년 6대 총선 <1963>, 총 175석 - <민주공화당> 110석 - <민정당> 41석 - <민주당> 13석 - <자유민주당> 9석 - <국민의당> 2석 박정희당의 탄생: > <5.16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한 <박정희> 세력은 민정이양 뒤에도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민주공화당>을 만든다. 기성 정치인들의 정지활동을 금지한 상태에서 사전조직 작업에 나선 것, 4대 의혹 사건과 같은 부정한 방법으로 정치자금을 조성해 창당에 사용한 점 등은 두고두고 비판의 대상이 됐다. 야당 진영은 단일 정당을 추진하기도 했지만 대통령 후보 지명 등에서 의견차를 보이며 구 <민주당> 구파 중심의 <민정당>, 신파 중심의 <민주당> 등으로 결국 분열한다.[^1] ## 1967년 7대 총선 <1967>, 총 175석 - <민주공화당> 129석 - <신민당> 45석 - <대중당> 1석 합당과 분열의 연속: > 야당의 난립 때문에 총선에서 패배했다고 생각한 야권은 통합을 추진한다. <민정당>과 <민주당>이 <민중당>으로 결합했으나 <윤보선>의 탈당으로 다시 내분에 휩싸인다. 한일회담 반대에 미온적이라는 이유였으나 대표 최고위원 선거에서 패배한 것이 컸다. 이후 윤보선은 <신한당>을 창당한다. 그러나 결국 민중, 신한 양당은 야당 대통령 후보 단일화라는 여론에 밀려 합당을 선언하고 <신민당>을 출범시킨다.[^1] ## 1971년 8대 총선 <1971>, 총 204석 - <민주공화당> 113석 - <신민당> 89석 - <민중당> 1석 - <국민당> 1석 신민당의 성장: > <민주공화당>은 여전히 제1당의 지위를 유지했지만, 야당인 <신민당>이 과반에 육박하는 의석을 차지했다. 앞서 대통령 선거에서도 신민당 <김대중> 후보는 공화당 <박정희> 후보에 94만여 표의 근소한 차로 패배하기도 했다.[^1] ## 1973년 9대 총선 <1973>, 총 219석 - <민주공화당> 73석 - <유신정우회> 73석 - <신민당> 52석 - <민주통일당> 2석 - 무소속 19석 어둠 속 정당들: > <박정희> 독재를 위한 <유신체제>가 출범하면서 국회와 정당 활동은 대폭 위축됐다. <대통령>은 전체 국회의원의 3분의1을 추천할 수 있었다. 이들 임명제 의원은 <유신정우회>라는 별도의 교섭단체를 만들어 활동했다. 유신체제 하에서도 야당이 52석이나 얻을 수 있었던 것은 한 선거구에서 2명을 선출하는 중선거구제가 도입돼 '여야 동반당선'이 가능했기 때문이었다.[^1] ## 1978년 10대 총선 <1978>, 총 231석 - <유신정우회> 77석 - <민주공화당> 68석 - <신민당> 61석 - <민주통일당> 3석 - 무소속 22석 정당 밖의 정당: > 총선 결과 <민주공화당>이 더 많은 의석을 차지했지만 득표율은 <신민당>이 1.1%나 더 높았다. <유신체제>가 국민의 지지를 잃어가고 있다는 증거였다. <1974년> 신민당 총재로 선출된 <김영삼>은 독재정권에 맞서 유신체제를 폐지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한다. 그러나 정권 차원에서 신민당과 <김영삼>을 무력화시키려는 시도가 계속된다. 이 시기에는 제도권 정당보다는 시민사회단체들의 유신 반대, 민주화 운동이 정국을 이끌어가는 '준정당'의 역할을 하기도 했다.[^1] ## 1981년 11대 총선 <1981>, 총 276석 - <민주정의당> 151석 - <민주한국당> 81석 - <한국국민당> 25석 - 기타 군소 야당 8석 - 무소속 11석 허수아비 정당 시대: > <12.12 사태>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한 <신군부>는 <민주정의당> 창당에 나선다. 모든 정치활동을 금지시켜 놓고 자신들만 비밀리에 창당을 진행한 것은 앞서 <5.16 쿠데타>에 이은 <공화당> 창당 때와 같았다. 다만 신군부는 정당 간 경쟁 자체를 용납하지 않았다. 대신 야당 역할을 할 위성정당들이 만들어졌다. 정치활동 규제 대상에서 제외된 야권 정치인들은 신군부의 개입 아래 <민주한국당>을 만들었다. 공화당과 <유신정우회> 출신 일부는 <한국국민당>을 결성한다. 두 야당 모두 '집권의 포부'는 없었다.[^1] ## 1985년 12대 총선 <1985>, 총 276석 - <민주정의당> 148석 - <신한민주당> 67석 - <민주한국당> 35석 - <한국국민당> 20석 - 기타 군소 야당 2석 - 무소속 4석 민주화의 길목: > 유명 야당 정치인들의 정치활동 금지가 서서히 풀리기 시작했다. <김영삼>·<김대중> 세력은 연합해 <민주화추진협의회>를 결성하고 관제 야당인 <민주한국당>을 넘어설 신당 창당에 나선다. 이름은 과거 유신에 맞서 싸웠던 '<신민당>'을 계승한다는 의미에서 '<신한민주당>'으로 정한다. 총선 결과 신한민주당은 제1야당으로 부상하고 <민주한국당>은 몰락의 길을 걷는다.[^1] ## 1988년 13대 총선 <1988>, 총 299석 - <민주정의당> 125석 - <평화민주당> 70석 - <통일민주당> 59석 - <신민주공화당> 35석 - <한겨레민주당> 1석 - 무소속 9석 <김영삼>, <김대중>의 분열: > <1987년> <6월 항쟁>의 민주화 열기를 타고 직선제 개헌이 이뤄진다. 야당을 대표하던 <김영삼>·<김대중> 두 정치인은 더 선명한 야당을 표방하며 <신한민주당>을 차고 나와 <통일민주당>을 창당한다. 그러나 두 사람은 결국 갈라서게 되고 김대중은 <통일민주당>을 탈당해 <평화민주당>을 창당한다. 야권 분열로 정권교체는 실패로 돌아가고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된다. 그러나 총선에서는 의정 사상 최초로 여당의 의석이 야 3당 의석보다 적은 '여소야대' 정국이 실현됐다.[^1] ## 1992년 14대 총선 <1992>, 총 299석 - <민주자유당> 149석 - <민주당> 97석 - <통일국민당> 31석 - <신정치개혁당> 1석 - 무소속 21석 <김영삼>, <김대중>의 분열: > 여소야대는 오래가지 못했다. <1990년>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이 합당해 <민주자유당>을 창당하고 거대 여당으로 자리매김한다. <김영삼>은 쿠데타 정권의 재등장을 막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고 주장했지만, 제2야당으로서 불안한 지위를 해소하고 권력을 잡기 위한 목적이 컸다. <3당 합당>에 반대한 <통일민주당> 세력은 '꼬마민주당'으로 남은 뒤 <김대중>의 <평화민주당>과 합당해 <민주당>을 이룬다. <현대그룹> <정주영> 명예회장은 기성 정당의 공천에서 떨어진 정치인들을 중심으로 <통일국민당>을 창당한다.[^1] ## 1996년 15대 총선 <1996>, 총 299석 - <신한국당> 139석 - <새정치국민회의> 79석 - <자유민주연합> 50석 - <통합민주당> 15석 - 무소속 16석 <김대중>의 복귀: > 14대 대선 패배 이후 정계 은퇴를 선언했던 <김대중>은 2년7개월만에 정계복귀를 선언하고 기존 <민주당>과 별도로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한다. 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대거 국민회의 쪽으로 당적을 옮긴다. 여당인 <민주자유당> 내에서도 <김영삼> 추종세력이 <김종필> 대표 체제에 불만을 제기하기 시작하고 <김종필>은 탈당해 <자유민주연합>을 창당한다. <민주자유당>도 당명을 <신한국당>으로 바꾸고 새출발을 다짐한다. 이로서 3당 합당은 5년여만에 막을 내린다.[^1] ## 2000년 16대 총선 <2000>, 총 273석 - <한나라당> 133석 - <새천년민주당> 115석 - <자유민주연합> 17석 - <민주국민당> 2석 - <희망의한국신당> 1석 - 무소속 5석 대선과 헤쳐모여: > 15대 대선을 앞두고 <신한국당>의 대통령 후보로 <이회창>이 선출되지만, <이인제>는 이에 불복해 <국민신당>을 창당하고 별도로 출마한다. 분열로 위기에 처한 <신한국당>은 <민주당>과 합당해 <한나라당>을 출범시킨다. <김대중>과 <김종필>은 으로 대선에서 승리하지만 내각제 개헌을 두고 견해차를 보이면서 분열한다. <김대중>은 집권 뒤 개혁과 보수를 아우르는 전국 정당을 표방하며 <새천년민주당>을 창당한다.[^1] ## 2004년 17대 총선 <2004>, 총 299석 - <열린우리당> 152석 - <한나라당> 121석 - <민주노동당> 10석 - <새천년민주당> 9석 - <자유민주연합> 4석 - <국민통합21> 1석 - 무소속 2석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 > <새천년민주당>, <한나라당>, <개혁국민정당> 내에서 정치개혁과 지역주의 타파를 내세운 의원들이 새롭게 <열린우리당>을 결성한다. <노무현> 대통령이 열린우리당을 지지하는 발언을 했다가 <탄핵>을 당하자 이에 반대하는 시민들의 <촛불시위>가 벌어져 이 바람을 타고 <열린우리당>은 총선에서 과반을 차지한다. 이와 함께 <민주노동당>이 10석을 얻어 원내 제3당으로 부상했다. <1960년> <사회대중당> 이후 진보정당으로서는 44년만의 원내 진출이었다.[^1] ## 2008년 18대 총선 <2008>, 총 299석 - <한나라당> 153석 - <통합민주당> 81석 - <자유선진당> 18석 - <친박연대> 14석 - <민주노동당> 5석 - <창조한국당> 3석 - 무소속 25석 친박이라는 이름의 정당: > <한나라당> 공천에서 대거 탈락한 친박근혜계 인사들이 탈당해 <친박연대>를 결성하거나 친박 무소속 연대를 만들었다. <자유민주연합>은 17대 총선 참패 이후 심대평 등이 탈당해 <국민중심당>을 결성하고 <이회창> 세력과 합쳐져 <자유선진당>, <선진통일당>으로 이어진다. <열린우리당>은 17대 대선을 앞두고 탈당 사태가 벌어져 <대통합민주신당>으로 재편되었다가 대선 패배 이후 <민주당>(<새천년민주당>)과 합당해 <통합민주당>(뒤에 <민주당>으로 개칭)이 된다. <민주노동당>은 <일심회 사건>을 계기로 <진보신당>으로 분열한다.[^1] ## 2012년 19대 총선 <2012>, 총 300석 - <새누리당> 152석 - <민주통합당> 127석 - <통합진보당> 13석 - <자유선진당> 5석 - 무소속 3석 [박근혜](https://wiki.g15e.com/pages/%EB%B0%95%EA%B7%BC%ED%98%9C.txt)의 새누리당: > <민주당>은 18대 대선을 앞두고 <한국노총>과 친노무현 그룹, 시민사회세력과 합당해 <민주통합당>(이후 <민주당>으로 개칭)을 창당한다. <한나라당>은 <2011년> 10.26 재보궐선거 패배 뒤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을 중심으로 재편해 <2012년> <새누리당>으로 당명을 바꾼다. 진보정당 세력들도 총선을 앞두고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 <진보신당> 탈당파 등이 모여 <통합진보당>을 창당한다.[^1] ## 2016년 20대 총선 <2016>, 총 300석 - <더불어민주당> 123석 - <새누리당> 122석 - <국민의당> 38석 - <정의당> 6석 - 무소속 11석 <문재인>과 <안철수>: > 18대 대선 과정에서 급부상한 <안철수>는 <새정치연합> 창당을 준비하다가 <민주당>과 합당을 결의, <새정치민주연합>이 출범한다. 그러나 7.30 재보궐 선거 패배로 <김한길>, <안철수> 공동대표 체제는 막을 내리고 이후 <문재인>을 중심으로 <더불어민주당>으로 재편된다. 그 과정에서 <안철수>와 비주류 의원들이 탈당해 <국민의당>을 만든다. <통합진보당>은 부정 경선 사건을 겪은 뒤 패권적 당 운영을 비판하는 이들이 탈당해 <진보정의당>(이후 <정의당> 개칭)을 만든다. <통합진보당>은 <내란음모 사건>에 휘말려 <헌법재판소>가 해산을 결정한다.[^1] ## 2020년 21대 총선 <2020>, 총 300석 - <더불어민주당>+<더불어시민당> 180석 - <미래통합당>+<미래한국당> 103석 - <정의당> 6석 - <국민의당> 3석 - <열린민주당> 3석 - 무소속 5석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와 위성정당들: > 준영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되고 <미래통합당>이 위성 정당인 <미래한국당>을 창당하자 <더불어민주당>도 위성 정당인 <더불어시민당>을 창당한다. 두 위성 정당은 총선 후 미래통합당, 더불어민주당과 각각 합당하며 소멸된다. 더불어민주당은 총 180석을 차지하며 거대 여상을 이룬다.[^1] ## Footnotes [^1]: http://news.khan.co.kr/kh_storytelling/2017/party/